본 연구는 미러 대칭이 적용된 패션 사진의 표현 유형별 특징과 미적 특성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 및 범위는 국내외 서적 및 연구 논문 등을 토대로 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2000년대 이후에서 2018년까지 미러 대칭의 패션 사진 자료를 수집하여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러 대칭이 만들어낸 패션 사진의 표현 유형은 공간적 측면과 조형적 측면이라는 두 개의 큰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첫째, 공간적 측면은 가시적 공간성의 확장과 무한공간의 창출로 분류되었다. 가시적 공간성의 확장은 보이지 않는 공간 표출, 보이는 공간과 보이지 않은 두 공간의 동시적 조합을 특징으로 하며, 무한공간의 창출은 크고 작은 미러를 활용한 칼레이도스코프의 구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형적 측면은 규칙화된, 모순된, 왜곡된, 해체된, 중첩된 증식으로 분류되었다. 규칙화된 증식은 전신 혹은 부분 신체의 논리적인 반사상으로 구현되었으며, 모순된 증식은 좌우, 상하 대칭변환과 회전대칭의 혼용, 대칭 증식과 비대칭 디지털 이미지의 혼용으로 나타났다. 왜곡된 증식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미러를 활용하거나 디지털 그래픽을 이용한 왜곡된 이미지의 조합으로 나타났다. 해체된 증식은 파편화된 미러 구성, 미러 프리즘의 이동에 따른 구성, 디지털 미러 대칭에 의한 분절과 조합으로 나타났으며, 중첩된 증식은 투명도 조절과 왜곡, 크기 변형의 디지털 미러 대칭으로 나타났다.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러 미러 대칭의 유형에 따른 표현 특징들을 통해 미적 특성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대칭 복사를 통한 반복기법으로 인해 단순한 구성 요소만으로도 화면을 풍성하게 만드는 장식성, 둘째, 신체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는 패션 사진의 특성상 클론과 같은 도상 및 광학효과가 만들어낸 미래성, 셋째, 과거부터 미러 이미지가 만들어 온 시각적 환각 혹은 기묘함을 만드는 환상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미러 대칭의 패션 사진들이 감각적인 표현을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express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irror symmetry in fashion photographi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shion photographies which is related to mirror symmetry from 2000 to 201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irror symmetry types were classified as the spatial and the formative aspect. First, the spatial aspect was classified as expansion of visual space and creation of unlimited space. The expansion of visual space showed the exposure of invisible space. The creation of unlimited space showed various kaleidoscope outputs. Second, the formative aspect was classified as regular, contradictory, distorted, deconstructed, and overlapped reproduction. The regular reproduction showed logical reflections of partial or whole body. The contradictory reproduction showed mixed symmetry transformations using digital mirror. The distorted reproduction showed diverse images using an irregular curvature mirror or distorted digital mirror. The deconstructed reproduction showed fragmented images using fragmented mirrors, mirror prism or digital mirror. The overlapped reproduction showed transparent images using digital mirror.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symmetry types in fashion photographies were classified 3 categories. First, fanciness was expressed by a repetition method even if fashionable items were so simple. Second, futurism was expressed by a clone as an iconic body image and an optical effect. Third, fantasy was expressed by a visual illusion and an oddness as visual characteristics of mirror since long before. I hope that the expressive forms of a mirror symmetry will expand methods for a sensuous expression of fashion pho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