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티아 센(Amartya Sen)이 1979년 태너 강좌에서 역량 중심 접근법을 처음으로 제시한 이후, 역량 중심 접근법은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역량 중심 접근법은 그 명칭이 보여주는 것처럼 단일 이론이라기보다는 여러 이론들의 토대가 되는 이론 체계라는 점에서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실천적 영역에서도 그 영향력이 지대하다. 그러나 이러한 역량 중심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이론적 논의로 심화되기보다는 실천적 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역량 중심 접근법에 대한 오해를 야기하거나 그 윤리학적 함의가 왜곡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오해와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역량 중심 접근법의 핵심 특징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윤리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역량 중심 접근법은 적어도 7개의 윤리적 함의를 갖고 있다. 첫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사회 분배의 윤리적 이상으로 간주되던 평등 개념 대신 충분이나 적절성 개념 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사회 분배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자유의 두 측면인 과정과 기회를 구분하여 실질적인 자유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 하였다. 셋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권리의 이론적 토대를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권리들 사이의 내재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권리와 인권 개념을 제시하였다. 넷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민주주의, 즉 공적 추론(public reasoning) 논의를 통해 보편성과 개별성 사이의 조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전통적인 정의론과 차별화되는 현실적 정의관(comparative perspective of justice)을 제시하여 기존 정의론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여섯 번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의무론적 고려사항을 배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율성도 무시하지 않는 정교화된 결과주의를 제시하였다. 일곱 번째, 역량 중심 접근법은 다양한 실천 학문들과의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윤리적 함의 논의를 토대로 역량 중심 접근법의 이론적 논의가 심화될 때, 역량 중심 접근법을 통한 윤리학의 질적, 양적 발전이 도모될 것으로 기대된다.
Amartya Sen first proposed his capability approach to development and poverty in “Equality of What?” at the Tanner Lecture on Human Values in 1979. In this paper, he criticized both John Rawls’s concept of equality and the utilitarian concept of equality. Since then, many scholars, including Martha Nussbaum, have further developed Sen’s original theory. The capability approach currently prevails in academic areas, such as philosophy and economics, and practical areas, such as development projects. Due to its popularity, many misunderstand the capabilities approach, especially due to ethical implications. These misunderstandings distort the significance of such a model. In this paper, I will demonstrate seven ethical implications the capability approach has. First, the capability approach suggests that there are many ethical ideals such as “sufficiency” or “adequacy” for substantial distribution and evaluation, as opposed to “equality,” to make distributive policies more feasible. Second, taking the capability approach suggests embracing a concept of freedom emphasizing material conditions. This approach uses two aspects of freedom - opportunity and process - to give more substance to the concept of freedom. Third, Sen’s concept of right and human rights suggest a concrete foundation of rights and can resolve internal conflicts between rights, because Sen’s approach shows a unique system of right Fourth, through public reasoning, a capability approach shows the possibility of compatibility between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Fifth, the capability approach revives a comparative perspective of justice, based on a non-mainstream tradition of European Enlightenment, and as such, it can overcome problems in mainstream theories of justice. Sixth, the capability approach suggests a conception of consequentialism robust enough to respond to traditional critiques of consequentialism. Seventh, the capability approach extends the scope of ethics to interdisciplinary areas of study. This is because the capability approach has been considered a broad normative framework for evaluating individual well-being and social arrangements. These ethical implications of using a capability approach could make ethical research in this area a much more rich and feasibl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