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관계인 작업동맹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최근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12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 연구대상과 상담자 요인,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2006년을 시작으로 총 12편의 연구가 진행되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수퍼바이지(83.3%)로 편중되어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16.7%), 수퍼바이저(0%) 대상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상담자 특성에 대한 연구도 수퍼바이저(17.3%)는 추론된 상태(8.3%), 추론된 특성(3.5%)이 높았다. 수퍼바이지 (82.5%)도 추론된 상태(56.3%)와 추론된 특성(27.1%)으로 연구되어 관찰가능한 상태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100.0%)로 이루어져 질적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 and suggest directions of research with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working alliance which relation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in counseling supervision. The study analyzed 12 researches by chronologically, research object, counselor’s factor, research metho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data was scant because there was only 12 articles since 2006. Second, the research, which object was supervisor(83.3%) and supervisee(16.7%) and supervisor(0%) was insufficiency with regard to the research of supervisee(83.3%). In addition to, the research about observable state and observable trait was insufficient, while inference state(56.3%) and inference trait(27.1%) was the highest in the research about Counselor’s trait which object was supervisor(17.3%). Third, the method of research was quantitate research(100%), there is no qualitative research. At the last, discussion of the result, limitation of the study, follow study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