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은 정신의 전체성의 과정을 잘 설명해 줄 수 있으며, 상징이란 단어는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상황을 적합하게 표현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새의 보편적인 상징적 이미지는 영혼으로서의 새이지만, 기독교에선 성령의 상징으로 불교에서 붓다 자신의 현현으로, 샤머니즘에선 샤먼의 넋을 돕는 보호신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새의 정신적 상징은 고대의 태양숭배, 영혼 불멸의 사상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대인들은 새를 인간과 신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겼으며, 그 중에서 인도의 민화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화려한 깃털을 가진 공작새는 신화와 민담에서 그 상징적 의미를 찾아 볼 수 있었다. 권력, 높은 신분이나 품격을 상징하는 것에서 신성한 사랑, 자존심, 화려함과 부귀와 과시, 신성, 치유를 상징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공작새의 다양한 의미를 고찰해 볼 수 있었다.
Symbols can well illustrate a process where the human psyche achieves wholeness and the word “symbol” can adequately represent an intricate and contradictory situation. The symbolic image universally associated with birds is that of the soul. In Christianity, birds are a symbol of the Holy Spirit, while in Buddhism, they are considered as an incarnation of the Buddha. In shamanistic traditions, birds are expressed as a guardian of the souls of shamans. The spiritual meanings that bird symbols have are related to ancient sun worship and the belief in the immortality of souls. The ancients regarded birds as a mediator between humans and gods. Among birds, peafowl with colorful feathers that often appear in Indian folk paintings are found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the myths and folktales of many countries. They represent a variety of symbolic meanings such as sacred love, self-respect, splendor, wealth, showoff, divinity, and healing, as well as power, high status and dig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