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광주민중항쟁을 대표하는 소설 『봄날』과 『꽃잎』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로서의 문제의식과 대안을 고찰하는 데 있다. 『봄날』은 자발적 의지로 일어선 ‘시민’ 연대를 통해서 윤리성의 추구가 발현된다. 이를 통해 광주민중항쟁의 의미를 거듭나게 하는 것은 이름 없는 무수한 시민들의 피와 희생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반면 『꽃잎』은 광주민중항쟁의 피해의 당사자인 소녀의 고백적 증언을 통해 ‘우리’의 존재의 이면에 드리워진 호명적 타자의식을 인지하게 한다. 이때 소녀의 얼굴은 그 자체로 호소이고 절규이고 고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우리가 처한 삶의 상황에 대한 새로운 사고와 윤리적 대안 모색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이에 대한 확장된 논의는 다음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alternatives as the ethical subjects in the novel Spring Days and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representing the Gwangju people’s uprising. Spring Days shows the pursuit of ethics through the ‘citizen’ solidarity, which is based on voluntary will. This shows that regen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Gwangju people’s uprising is the result of innumerable people’s blood and sacrifice. On the other side,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recognizes the calling of the other person who is behind the existence of ‘us’ through the confession testimony of the girl who is the victim of the Gwangju people’s uprising. At this time, the girl’s face is an appeal and a scream in itself, and comes to ‘us’ in pain. W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new thinking and ethical alternative to the situation of life through the literary shaping of historical events, and the extended discussion on this is left as the next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