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간 소통 체계로서 트위터는 현재 편리한 접근성을 지니는 일상 구어 분석을 위한 중요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관련 주제어를 사용한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된 트윗을 대상으로 러시아어 트윗에서 사용되는 축약어를 형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웹 크롤링으로 수집된 트윗 가운데 축약어가 포함된 문장을 구분하였고, 그 후 문장 내에서 축약어의 쓰임과 문법적 형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트윗에 포함된 축약어에서는 일상 구어에서보다 더 많은 문법상 자유로움이 나타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일상 구어에서 나타나는 축약어 현상에 대한 연구이며, 이러한 자료가 계속 축적되면, 러시아인들의 언어 사용 습관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적인 축약어 수집 과정이 이루어진다면, 안정된 기계 번역을 위한 실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 social networking service, Twitter has become a key resources of analyzing everyday spoken language with convenient accessibilit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bbreviations used in Russian tweets morphologically for the tweet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using Korea-related key words. To this end, we collected sentences containing abbreviations from the crawled tweets and examined the grammatical forms of the abbreviations within the sentences. After a series of analyses, we found that the abbreviations included in the tweet showed more grammatical freedom than in everyday spoken language. The current study employed small sets of the tweet data.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larger amount of data would further inform the language usage patterns of Russian speakers. And if these data continue to accumulate, we can obtain more meaningful results to understand the language usage patterns of Russian speakers. In addition, with the continuous abbreviation data collection, it would be authentic resources for stable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