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후보
cAMP 신호전달과정을 통한 신규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의 미백 효능 연구
Whitening Efficacy Study of Natural Compounds-Peptide Derivatives via cAMP Signaling Pathway
이혜숙 ( Hye Suk Lee ) , 신경훈 ( Kyong Hoon Shin ) , 류근석 ( Geun Seok Ryu ) , 지경엽 ( Kyung Yup Jee ) , 조인식 ( In Shik Cho ) , 김한영 ( Han Young Kim )
UCI I410-ECN-0102-2019-500-001626662

MC1R의 길항제 역할을 하는 펩타이드와 tyrosinase를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천연유래 물질을 유도체화하여 신규 미백소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기작에 의한 미백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cAMP 신호전달 과정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총 24종의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cAMP assay의 결과를 통해 11종의 유도체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유도체에 대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여 본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RW를 서열에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가 특별히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MP assay는 MC1R의 antagonist라는 특정 타겟 물질을 디자인한 소재의 스크리닝 방법에는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저해 시험과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Novel whitening agents were prepared using peptide-Natural origin compound derivatives. The peptide could be an antagonist of MC1R and Natural origin compound were well-known material as a Tyrosinase inhibitor. We also suggest the new assay method which could evaluate the Antagonistic effectiveness to MC1R using cAMP signaling pathway. 24 candidates were synthesized and 11 peptide derivatives were selected by cAMP assay method. To evaluate cAMP assay, the selected peptide derivatives were assayed to evaluate their melanogensis inhibitory activity. At this work, we could know that the sequences which include -RW- have a melanogensis inhibitory activity, and cAMP assy could use as a evaluating method of MC1R antagonist. But, to evaluate the whitening activity of some material, cross-checking with melanin inhibitory assay method was recommended.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