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5.209.66
3.135.209.66
close menu
공자 후예의 남종(南宗)과 북종(北宗), 그리고 지파(支派)
Namjong(南宗), Bukjong(北宗) and other Branches of Descendants of Confucius
권오영 ( Kwon Oh-young )
한국계보연구 4권 5-35(31pages)
UCI I410-ECN-0102-2019-900-001747813

공자 가문은 중국인들이 흔히 말하는 “천하제일세가(天下第一世家)”이다. 공자의 후예는 2, 500년을 거치면서 손이 번성하여 지금 86대 후손이 태어났다. 후손들의 거주지는 중국 산동성 곡부가 중심이지만 중국 전역과 한국 등 해외에 널리 펴져 살고 있다. 공자 집안의 가계도는 수많은 정치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명(明)나라 이 후에 60년마다 한 번씩 크게 편찬하고, 30년마다 소규모의 편찬을 하도록 약속을 정했다. 『공자세가보』는 역사성이 있고 세계가 분명하여 계보학연구에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공자세가보』란 명칭은 『사기(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의해 “세가보”로 그 이름이 정해졌다. 1684년(청 강희 23) 공상임(孔尙任)이 공씨 족보를 편찬할 때「공자세가」에 의거하여 구성을 했다고 한다. 공자는 “나는 본래 은(傲) 나라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은나라의 조상 새는 제비[玄鳥]이다. 공자의 조상이 은나라 사람이고 이 제비에 아들 낳기를 빌었으므로 공씨가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공(孔)이란 글자는 새 을(乙) 자와 아들 자(子) 자가 합쳐진 것이다. 그런데 공씨 성이 구체적으로 생긴 것은 공자의 6대조인 공보가(孔父碧)의 자(字) 공보(孔父)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뒤 공씨가 노(魯)나라에 살기 시작한 것은 공보가의 손자 공방숙(孔防叔) 때부터이다. 공자의 34 대 후손 이전은 여러 지방으로 이주하여 세계(世系)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한다. 공자 후예 중에 중흥조(中興祖)는 공자의 43대 후손 공인옥(孔仁玉) 이다. 5세기 남조(南朝)의 송(宋) 대에 유경(劉景)이 공씨 사당과 묘소의 청소 역할을 맡아서 했다. 유경은 주인의 성인 공씨를 따라 성명을 공경(孔景)으로 고쳤다. 그의 후손인 공말(孔末)은 공자의 42대 종손인 공광사(孔光嗣)를 죽이고, 아울러 곡부에 사는 공자의 적자(嫡子) 계통의 후손을 모두 죽이려고 했다. 이때 공인옥은 겨우 죽음을 면하여 자손이 이어졌다. 공자의 종통(宗統)은 한때 남종(南宗)과 북종(北宗)으로 나뉘어 있었다. 송(宋)나라가 금(金)의 침략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을 가자 공단우(孔端友)는 황제 고종을 따라 절강성 구주(衢州)에 살게 되었다. 남종은 공단우로부터 공수에 이르기까지 6대 동안 연성공의 봉작이 이루어졌다. 원(元)나라 세조(世祖) 쿠빌라이(1215~1294)는 공씨 손 중에 종손으로 세울 지를 논의하게 했다. 그리하여 구주에 사는 공씨의 종손인 53세 공수(孔洙)를 불러서 연성공을 봉했으나 그는 곡부에 있는 공자 후손인 공치(孔治)에게 봉작을 사양하였다. 그 뒤 공치의 아들 공사회 (孔思晦)가 연성공이 된 이후부터는 남종과 북종이 함께 연성공에 봉해지는 것은 끝이 나고, 이후 600여 년 동안 북종이 공자의 종가로 인정을 받고 종손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곡부의 북종이 공자의 종가로 인정을 받아 77대 공덕성(孔德成)에 이르기까지 연성공에 봉해 졌다. 2009년에 간행된『공자세가보』는 5집 80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집은 60호(戶)를 수록했고, 제2집은 중흥조 이후 중국의 여러 지방에 나가 사는 지파(支派)를, 제3집은 중흥조 이전에 여러 지방에 나가 사는 각 파(派)를, 제4집은 선대의 세계를 잃어버린 자로 각각 자파를 세운 경우, 제5집은 해외 지파인 한국 고려파를 수록했다. 공자 후예의 지파인 한국 고려파 공씨의 시조는 공소(孔紹)이다. 공민 왕은 1349년에 원나라 수도인 북경에서 노국대장 공주와 결혼식을 올렸다. 1351년 충정왕이 사망하자 공민왕은 고려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공민왕이 귀국할 때 노국대장 공주도 함께 왔는데, 한림학사(翰林學士)이던 공소(孔紹)가 그녀를 수행했다. 공소는 연성공 공사회(孔思晦)의 아우로 본래 이름이 공사소(孔思昭)이다. 공사소는 고려 광종의 이름인 소(昭)자를 피해서 이름을 소(紹)로 고쳤다. 공민왕은 공소를 문하시랑평장사에 임명하고 창원백(昌原伯)에 봉해 주었다. 공소의 아들은 공여(孔帑)이고, 공여는 공부(孔俯)와 공은(孔㒚) 두 아들을 낳았다. 공부의 후예는 어촌호(漁村戶)를, 공은의 후예는 고산호(孤山戶)라고 부른다. 한국 고려파 공씨는 본래 본관(本貫)을 창원 (昌原)으로 썼으나, 1794년(정조 18)에 정조는 모든 공씨의 본관을 곡부로 쓰도록 하였다. 공자의 종통이 한때 남종과 북종으로 나뉘어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국가에서 공자의 종손을 찾아서 임명할 수 있었고, 또 실제 종손은 부모에 대한 효(孝)를 내세워 자기의 종손 자리를 다른 먼 후손에게 양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서 유교의 의리(義理)는 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유연성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래 족보의 편찬은 세계(世系)의 순서를 밝히고, 종족(宗族)을 후하게 대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족보는 세계(世系)의 전통인 세통(世統)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자세가보』는 세통을 중시하면서도 도통(道統)의 계승을 강조하고 있다. 도(道)의 집대성자인 공자의 후손들에 대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유교 국가에서는 도의 융성과 쇠퇴에 천하의 흥망이 달려 있다고 생각했는데, 『공자세가보』의 특징은 다른 족보와는 달리 공자의 도통 계승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에도 공씨들은 『공자세가보』를 편찬하면서 실제적으로는 공자 후손의 세계(世系)를 정리하고 있지만, 명분론적으로 유교의 도통 계승을 표방하고 있다.

The family of Confucius is usually called the ‘First family in the world’ by Chinese people. The family tree of Confucius was admitted as the ‘Oldest Family Tree in the world’ in 2005. Guinness World Records in the UK, which has issued the Guinness Book, gave the certificate of world record to the cultural management committee of Gokbu, Shantung Province, which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Confucius. And now the 86th generation descendants of Confucius have been born, after producing numerous descendants for 2,500years. Though the main residential areas of his descendant are centered around Gokbu, Shantung Province in China, many of the descendants live all across China and overseas, even in Korea. In 1998, a plan for making a full list of his descendants, of which the number seemed to be several million, was established,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ion of 80volumes of Gon/asegabo(gene2.logic2il record) in 2009,which is a detailed pedigree of the family of Confucius. Almost 1.9million descendants of Confucius have been included in these books. Especially, the works were recorded as the first compilation of pedigree in which the female descendants of Confucius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mpilation history. In 1937, when the family tree of Confucius was prepared, it was found out that the number of descendants was about 560,000. Despite the great number of political storms in China, it has been a principle that the family tree of Confucius should be compiled in a large scale every 60years since the Ming Dynasty, including a small- scaled compilation every 30years. The Gonjasegabo(genealogical record) is regarded as a good data for historical events, providing good resources for studies of genealogy. The family tree of Confucius includes all the branches and names of descendants which have been recorded for 4,500years since Whangje(Yellow Emper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records of ancient times as true. The title Gonjasegabo originated from ‘Gongjasega’ included in the Sagi(historical records). It is said that Gong Sang-im, a descendant of Confucius, formatted the pedigree on the basis of ‘Gongjasega’ from Sagihe was compiling the family history in l684(Gannghee 63, Ching Dynasty). Confucius used to say, “I am a man from Eun Dynasty” The bird of ancestor in his mother country was a swallow. The forefathers of Confucius came from Eun, and the they prayed to a swallow for a son. The family name was created by combining the Chinese character ‘Eul(乙;bird)’ and ‘Ja(子;son)’. However, the family name began to be specified in the name of Gongbo(孔父),which was the nickname of Gongboga(孔父嘉> who was a forefather of Confucius. The Gong family began to live in the ancient country named ‘No’,when Gongbangsuk(孔防叔),a grandson of Gongboga, came to the country to settle down. Gonggeub(孔伋),a descendant of Confucius, is known as a remarkable scholar, and in the next generation, Gonganguk(孔安國)and Gongyeongdal(孔穎達)are famous as well. It is impossible to clearly identify the branches of descendants of Confucius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34th generation, as they moved to various regions. Among his descendants, the 43th generation Gonginok(孔仁玉)played a major role in the family prosperity. During the 5th century, in the era of Song Dynasty among southern countries, a man named Yugyeong(劉景)’ took care of ancestral shrine and tomb of Gong family. He changed his own family name to Gong, his lord’s name, so he was called ‘Gonggyeong(孔景)’ One of his descendants, who was named ‘Gongmal(孔末)’,killed ‘Gonggwangsa(孔光嗣)’ the 42nd generation descendant of Confucius, and treid to kill every legitimate son of Confucius living in Gokbu at that time. At that time, Gonginok could escape death, so he could leave offspring. The family trees of Confucius used to be roughly divided into to branches, Namjong(South branch, 南宗) and Bukjong(North branch, 北宗). When the governing class of Song Dynasty fled to the south due to the invasion of ‘Geum(金)’, Gongdanwoo(孔端友) followed the emperor and settled down in Guju(衢州), Jeolgang Province. The South descendant branch of Confucius maintained the noble title of Yeonseongong(衍聖公)’ for 6generations from Gongdanwoo to ‘Gongsu(孔洙)’. The Khubilai, Sejo, of the Yiian Dynasty ordered his retainers to discuss as to who would be designated as the representative of descendants of Gong family. And Gongsu, a 53rd descendant generation, was called to be ennobled as ‘Yeonseongong’,however, he recommended ‘Gongchi(孔治)’ who lived in Gokbu at that time. When Gongsu went to the palace in 1282(Jiwon 19), he said to the emperor, “I wold rather stay with my parents rather than gain honor, so I want to go back to south, c And he recommended his younger cousin living in Gokbu at that time. The emperor praised him saying, “This man would rather exchange honor for his parents, so he must be a descent of a saint.” Since Gongsahoi, the 56th descendant generation became a Yeonseongong', only the north descendant branch was ennobled as ‘Yeonseongong’, which lasted for the next 600years, so that the north branch was admitted as the head family of the descendants of Confucius. In this way, the tradition of north descendant branch began when ‘Gongsu’ offered the peerage title of ‘Yeonseongong’ to Gongchi, who was a descendant of Confucius. So, the head of north descendant branch was ennobled as Yeonseongong’,which lastedof Confucius. King Gongmin married Nogukdaejang Princess in 1349 in Beijing, which was the capital city of Yiian at that time. When King Chungjeong passed away in 1351,he came bak to Goryeo to ascend the throne. When coming home, he brought his wife Nogukdaejang Princess, who was accompanied by Gongso. The original name of Gongso, who was a younger brother of Yeonseonggong Gongsahoi(孔思晦) was Gongsaso(孔思昭).He had to change the character in his name to So(紹) in order to use the same character in the name of King Gwangjong of Goryeo. King Gongmin enobled him as ‘Changwonbaek(昌原伯)’ after appoint in him ‘Munhasirangpyeongjangsa(vice-minister of the government)’. He had a son named Gongyeo(孔帑), and Gongyeo gave birth to two sons named Gongbu(孔俯) and Gongeun(孔㒚)respectively. The descendants of Gongbu are called Eochonho(漁村戶), and the descendants of Gongeun are called Qosanho(孤山戶). As of 2009, the population of Eochonho was 9,319, and the population of Gosanho is 18,796. At first, the Goryeo descendants branch of Confucius designated Changwon as their origin of clan, but King Jeongjo(in the 18th year of his regime) ordered them to designate Gokbu as their origin of clan. In general, compilation of pedigree is aimed at identify the time sequence of family tree and treat well the members of the clan. Accordingly, a general pedigree is focused on the family tree, which is a tradition in compiling a pedigree. But, the special feature of the Gongjasegabo is that the records is focused on the succession of Confucianism, as well as the family tree. That is because their pedigree is a record of descendant of Confucius who laid the foundation of enlightenment. In a Confucianism nation, people thought that the rise and fall of a country depended on the enlightenment. Unlike other pedigree, the special feature of Gongjasegabo is focused on the succession of the enlightenment taught by Confucius. Even now, the descendants of Confucius are claiming to advocate the enlightenment of Confucius in terms of justification of the theory, though they are arranging the family tree at the bottom of their heart.

1. 머리말
2. 공자의 선계와 출생
3. 공자의 추승과 후손의 봉작
4. 공자 후예의 남종과 북종
5. 『공자세가보』와 한국 고려파 곡부공씨
6.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