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성인 ADHD 환자의 지능특성: 소검사 항목 특징을 중심으로
Intelligent Characteristics of Adult ADHD Patients: Focusing on the Subtest Item Features
이원익 ( Won Ik Lee ) , 허윤석 ( Yoon Seok Huh )
UCI I410-ECN-0102-2019-500-001549099

이 연구는 WAIS-I 지능검사를 통해 소항목 검사를 중심으로 성인 ADHD 환자 지능검사결과의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하여 성인 ADHD 진단에 도움을 주며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음누리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DSM-IV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성인 ADHD로 확진된 18~56세 사이,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의 185명에 대해 고지능군(전체지능 110 이상~107명)과 평균지능군(전체지능 110 미만~78명)으로 구분하여 WAIS-I 지능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평균지능군과 고지능군 사이에 인구역학적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평균지능군에서 30세 미만, 미혼의 비율이 높았지만, 고지능군에서는 대학이상의 학력비율, 직업이 있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빠진 곳 찾기'와 다른 지능 소검사 항목 사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빠진 곳 찾기'가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토막 짜기' 점수에서 빠진 곳 찾기 점수를 뺀 점수 차이는 두 집단에서 모두 컸지만, 고지능군에서 이런 점수차이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빠진 곳 찾기' 소검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있는 소검사 항목은 고지능군과 평균지능군 사이에 차이를 보였다. 고지능군과 평균지능군 모두 '빠진 곳 찾기' 수행이 저조했고, 평균지능군에서는 '모양맞추기'와 '바꿔 쓰기'가 빠진 곳 찾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이런 양상은 고지능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평균지능군에서 동작성 지능 저하가 더 일관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각적 예민성, 시각적 조직화 능력, 시각적 집중력과 함께 사물의 본질-비본질적인 부분을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며, 시각적 기민성, 환경에의 기민성, 시각적 조직화, 지각적 조직화, 본질적인 부분과 비본질적인 부분의 구별(사물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 집중력, 자동적 및 표상적 수준에서의 조직화, 시간적 압력 하에서의 작업 능력, 불확실할 때 반응하는 능력 등을 의미하는 '빠진 곳 찾기'점수의 유의미한 저하는 성인 ADHD의 지능검사에서의 특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능검사가 특히 전체지능 110 이상인 고지능 성인 ADHD 진단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ADHD patients' intelligence test an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adult ADHD diagnosis by using WAIS-I intelligence test. For 185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medication between the ages of 18~56 who were admitted to the adult ADHD according to the DSM-IV criteria, the results of the WAIS-I intelligence test were divided into the high intelligence group (110 total intelligence, N=107) and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total intelligence 110, N=78) and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intelligence group and the high intelligence group. In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the ratio of unmarried people under 30 years old was high, but in the high intelligence group, the ratio of education ratio and occupation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cture Completion' and other intelligence subtests, The 'Picture Comlpetion'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the "Block Design" score and the score of the 'Picture Comlpetion' score was larger in both groups, the scor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intelligence group. Fourth, the subscale items correlated most with the 'Picture Completion' subtest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high intelligence group and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Both the high intelligence group and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performed poorly in the 'Picture Completion', and the average intelligence group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Object Assembly' and the 'Digit Symbol', but this pattern does not appear in the high intelligence group.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decline of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was more consistent in the mean intelligence group. The significant decline of the 'Picture Completion' score, which measuring the ability to grasp the essence-non-essential part of an object with visual sensitivity, visual organization ability, visual concentration, visual agility, environmental agility, visual organization, perceptual organization, distinction between essential and non-essential parts (ability to grasp the core of things), concentration, organization at automatic and representational level, ability to work under temporal pressure, and which means the ability to react when uncertain, has been confirmed that ADHD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adult ADHD, and the intelligence test will be a useful tool for diagnosing, especially diagnosing ADHD adults with high intelligence level of 110 or more. Chung-Ang J Med 2017; 42(1): 7-15

서 론
연구 및 방법
결 과
토 의
결 론
요 약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