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계 미국문학의 대표적인 작가인 에이미 탄(Amy Tan)의 『부엌신의 아내』(The Kitchen God’s Wife)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치유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작가 탄은 작품 속에서 주인공 위니(Winnie)의 과거 트라우마의 경험을 절묘한 필치로 생생하게 묘사한다. 중국에서 위니는 어릴 때부터 연속적으로 부모님의 버림, 무시, 성적 학대, 가정 폭력과 성폭행을 당한다. 그리고 신대륙으로 이민을 온 후에도 위니는 트라우마를 계속 경험하며 트라우마의 주요증상인 과다각성의 증세를 보인다. 그러나 친구인 헬렌(Helen)의 강요로 인하여 위니는 딸 펄(Pearl) 한테 자기의 과거 트라우마를 털어놓음으로써 딸과 소통을 하게 되며 딸과 친밀하고 가까운 모녀 관계를 회복한다. 따라서 펄은 어머니의 사랑과 과거 트라우마를 이해하게 되고 어머니와 딸의 갈등이 해소됨으로써 위니의 오랫동안 숨겨졌던 트라우마도 치유된다.
이 소설은 작가의 강한 자전적인 요소가 결합된 자전적인 소설이며 탄은 자기의 가족 트라우마를 작품 속에 암시적으로 투영한다. 탄의 어머니 데이지(Daisy)가 위니의 원형이며 탄은 어머니의 트라우마 경험을 다시 쓰기를 통하여 자기 가정에 존재했던 트라우마가 치유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탄은 어머니의 과거 트라우마를 통하여 어머니의 과거를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다. 작가인 탄은 트라우마의 완전한 치유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트라우마의 치유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제기한다. 결국 작가인 탄은 트라우마와 치유의 과정을 통하여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에 대해 통찰적인 견해를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rauma and its healing process in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Asian American literature, Amy Tan’s The Kitchen God’s Wife. In the novel, Tan exquisitely and vividly delineates the protagonist Winnie’s traumatic experiences. In China, Winnie experiences a series of traumatic events from childhood before emigrating to America. Winnie successively suffers from traumas of parents’ abandonment, neglect, sexual abuse, domestic violence, and rape. After migrating to the new continent, Winnie suffers from the destructive aftermath of trauma, and manifests trauma’s symptoms of hyper-arousal and disconnection. At her friend Helen’s urging, Winnie begins to confide her traumas to her daughter, Pearl. Through trauma narrative talk-story, the protagonist Winnie not only breaks the disconnection caused by trauma, but also builds up an intimate and clos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At the same time, Pearl also understands her mother’s love, and gets to know her mother’s traumatic past. In the end, Winnie’s long concealed traumas are healed.
This novel has strong autobiographical colors, as Tan puts her family traumas into The Kitchen God’s Wife. In reality, Tan’s mother Daisy is the archetype for Winnie in the novel. Through rewriting her mother’s traumatic experiences, Tan assimilates and integrates these traumas into a life story of her family. As a result, because Tan becomes to get a clear understanding of her mother’s traumatic past, the traumas of Tan’s mother can be healed. Despite the prevailed skeptical thought towards the complete healing of trauma, Tan has a positive stance to trauma and its healing. Through this novel, Amy Tan provides insightful ideas and notions about trauma, the healing of trauma, and trauma i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