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주거소요를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지만, 도심 외곽 내 대단지 형태로 건설되어 저소득층의 직주분리, 사회적 배제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왔다. 정부는 이러한 대단지 및 신규건설 위주의 공공임대주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 내주택을 매입하여 저소득층에게 제공하는 매입임대주택제도를 도입하였다. 매입임대주택은 사회적 배제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한 지역에 집중하지 않고 분산되어 위치하여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매입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입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관리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주택관리연구원에서 2017년 서울시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이며, 총 87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매입임대주택 입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민원에 대한 해결과 민원처리 관리, 주변인식, 주택시설, 주거비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in Seoul. Given that how to effectively manage purchased housing that is dispersed throughout the city has been an issue and social exclusion can be less problematic among purchased rental housing residents, we focus on the effects of housing management and social relationship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For the empirical study, we used a dataset that surveyed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in Seoul and ran a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both housing management and social relationship are associated with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