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4
216.73.216.84
close menu
KCI 등재
조생 복합내병성 최고품질 벼 ‘진광’
‘Jinkwang’, a High-quality Rice Variety with Early Maturity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ce
이정희 ( Jeong-heui Lee ) , 원용재 ( Yong-jae Won ) , 정국현 ( Kuk-hyun Jung ) , 장재기 ( Jae-ki Chang ) , 안억근 ( Eok-keun Ahn ) , 현웅조 ( Ung-jo Hyun ) , 성낙식 ( Nak-sig Sung ) , 정응기 ( Eung-gi Jeong ) , 조영찬 ( Young-chan Cho ) , 강경호 ( Kyeong-ho Kang ) , 서대하 ( Dae-ha Seo )
UCI I410-ECN-0102-2019-500-00173413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진광’은 중부지역 적응하는 고품질 조생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7년 하계에 조생종이며 다수성인 ‘운광’하고, 도복은 약하지만 준조생으로 밥맛이 우수한 도입품종 ‘고시히카리’를 인공교배한 잡종1세대에 복합내병성이며 도복에 강한 ‘호품’을 3원교배하였다. 3원교배된 F1개체를 양성하며 조기에 유전특성을 고정하고자 꽃가루 배양을 실시하고 육성계통 세대 진전 후 SR31511-HB3104-29-1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75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 3년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6년 12월 농촌진흥청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조생종 최고품질 품종 ‘진광’으로 명명되었다. ‘진광’의 본답생육일수는 보통기 재배에서 114일로 ‘조평’보다 6일 늦은 조생종이고, 벼 간장은 62 cm로 ‘조평’보다 12 cm 작은 단간이며, 이삭길이는 20 cm, 주당 이삭수 16개로 ‘조평’하고 비슷한 특성이고, 이삭당 입수도 100개로 ‘조평’하고 비슷하였으며. 등숙률은 75.9%로 ‘조평’보다 낮았고, 현미 천립중이 21.8 g으로 중소립종이다. ‘진광’은 도열병에 중도 저항성을 보였고, 흰잎마름병은 K1, K2, K3 균계에 저항성을 보였지만,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다. ‘진광’은 단간이며 도복관련 특성이 좋았고 포장도복에도 강하게 반응하였다, 수발아는 대비품종인 ‘조평’과 비숫한 반응을 보였고, 내냉성도 대비품종하고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진광’의 백미외관은 심백이 0이고 복백이1로서 맑고 투명하였다. 알칼리붕괴도는 5.9, 단백질함량은 6.2%, 아밀로스함량은 17.9%로 ‘조평’보다 낮아서 미질특성이 우수하였고, 관능검정 결과 밥맛은0.42로 ‘조평’보다 매우 우수한 품종이었다. ‘진광’의 도정특성에서 제현율과 도정율은 대비품종인 ‘조평’ 보다 좋은 특성을 보였으나 도정된 쌀의 완전립률이나 완전미도 정수율은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진광’ 의 쌀수량은 중부평야지, 중부중산간지 및 동북부해안지 등 8개 지역에서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5.91 MT/ha로 ‘조평’의 5.53 MT/ha 보다 7% 정도 많았다. 조생종 최고품질 품종 ‘진광’의 적응지역은 중부평야지 및 동북부해안지이다.

‘Jinkwang’, a japonica rice variety, was developed by a cross between ‘Hopum’ (IT23527) and the F1 hybrid of ‘Unkwang’ (IT217814) and ‘Koshihikari’ (IT157335)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NICS in 2016. ‘Unkwang’ shows an early maturity and high yield and ‘Koshihikari’ is a high-quality variety. The growth duration of ‘Jinkwang’ in the paddy field was 114 days in the middle plain region in Korea, which was six days later than that of ‘Jopyeong’. The culm length of ‘Jinkwang’ was 62 cm, which was 13 cm shorter than that of ‘Jopyeong’. The panicle of ‘Jinkwang’ was composed of 100 spikelets. The viviparous germination rate of ‘Jinkwang’ was 28.3%. ‘Jinkwang’ showed resistance to blast and bacterial blight (K1, K2, and K3 races); however, it was susceptible to stripe virus, dwarf and black-streaked dwarf viruses, and plant hoppers. The milled rice grains of ‘Jinkwang’ showed an excellent palatability index (0.42) and lower protein content (6.2%) than that of ‘Jopyeong’. The grain milling characteristics were better than those of ‘Jopyeong’, especially in terms of brown/rough rice ratio and milled/rough rice ratio (75.9%). ‘Jinkwang’ showed a milled rice productivity of 5.91 MT/ha at eight sites under ordinary cultivation conditions. (Registration No. 7318).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