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가시(可是)’, ‘단시(但是)’, ‘부과(不過)’, ‘지시(只是)’의 사용과 기능
이지원
중국문학연구 74권 145-175(31pages)
DOI 10.31985/JCL.74.7
UCI I410-ECN-0102-2019-800-001771998

이 연구는 중국어 일상대화 자료를 중심으로 의미적인 측면에서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可是’,‘但是’,‘只是’,‘不過’의 사용 패턴과 기능과의 관련성을 정량적-정성적 연구 방식을 도입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량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어 일상대화에서 출현하는 ‘可是’,‘但是’,‘只是’,‘不過’의 빈도, 분포, 공기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 정성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可是’,‘但是’,‘只是’,‘不過’에서 나타나는 사용 양상과 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 ‘可是’, ‘但是’,‘只是’,‘不過’는 사용 양상에 있어서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차이는 ‘可是’,‘但是’,‘只是’,‘不過’에서 나타나는 명제적/텍스트적/상호작용적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연구는 ‘可是’,‘但是’,‘只是’,‘不過’의 담화 기능과 상호작용 간에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언어적 인접성과 언어 사용이 어법화의 중요한 자원임을 입증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uses of keshi, danshi, buguo, and zhishi, a set of apparently synonymous contrastive markers in Mandarin spoken discourse. This study u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investigate the frequencies, distributional properties, collocations, and functions of keshi, danshi, buguo, and zhishi. According to the data, these seemingly synonymous conjunctions differ in their use within conversational contexts. This study shows that the usage patterns of keshi, danshi, buguo, and zhishi are closely correlated with ideational/textual/interactional fun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a link between interactive resources and discourse functions for Chinese contrastive markers. This study may offer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language use and linguistic contiguity is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of grammaticalization.

Ⅰ. 연구목적 및 기존 연구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可是’, ‘但是’, ‘不過’, ‘只是’의 빈도, 분포, 공기 관계
Ⅳ. ‘但是’, ‘可是’, ‘不過’, ‘只是’의 사용양상과 기능의 상관관계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