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KCI 우수
사회신뢰와 대인신뢰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삶의 질 매개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ocail and Interpersonal Trust upon Happiness: Differential Moderation Effects of Quality of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en Different Types of Trust and Happiness
강혜진 ( Hyejin Kang ) , 이민아 ( Min Ah Lee )
DOI 10.33900/KAPS.2019.28.1.12
UCI I410-ECN-0102-2019-300-001103008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혼용하고 있는 대인신뢰와 사회신뢰를 이론적 논의와 분석단위 관점을 통하여 구분하고, 양자가 행복에 미치는 경로가 다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신뢰를 바라보는 두 방향의 이론을 살펴보고, 사회신뢰의 개념을 세분화하여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에 대한 신뢰인 대인신뢰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사회신뢰와 개인을 넘어서 공동체 자체에 대한 신뢰를 의미하는 좁은 의미의 사회신뢰를 이론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뢰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충분히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행복과 삶의 질의 구분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여 대인신뢰와 사회신뢰가 행복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는 두 신뢰 개념을 실제 정책과정에서도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대인신뢰와 사회신뢰, 삶의 질과 행복 개념의 구별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discern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and by sorting types of trust per different units of analysis; and second to suggest the potential that there are two distinctive mechanisms through which the two types of trust influence happiness respectively. To these ends, first, a substantive literature review on two predominant theories of social trust was conducted and the review suggested that social trust could be further segmented. More specifically, social trust could be segmented into two: a broadly defined one (broad social trust) that is inclusive of interpersonal trust and a narrowly defined one (narrow social trust) that transcends trust in individuals but people place in their communities. This study provides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the two types of social trust. Secon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in distinguishing different quality-of-life dimensions as well as happiness, a substantive data-drive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it suggest that the interpersonal trust linkage that leads to increased happiness differs from that positively links social trust and happiness. The results are a proof of the need to take different approaches when utilizing the concept of trust in the actual policy process. In sum,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how not only interpersonal trust and social trust but also quality-of-life and happiness differ, and wh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ose differential attributes in the actual policy process.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