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수치임상도 작업매뉴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line in Digital Forest Type Map
박정묵 ( Jeong-mook Park ) , 도미령 ( Mi-ryung Do ) , 심우담 ( Woo-dam Sim ) , 이정수 ( Jung-soo Lee )
DOI 10.11108/kagis.2019.22.1.168
UCI I410-ECN-0102-2019-500-001449747

본 연구는「임상도 현행화 제작(DB구축 작업매뉴얼)」(이하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을 검토하고, 1:5k 수치임상도(이하 임상도)에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임상도에 적용되는 평가항목은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으로 구분하였으며, 행정구역별 임분구조 특성과 파편화 분석을 통하여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작업매뉴얼의 구획에 관한 사항은‘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항목에서 제작과정이 제안되어있고 전국을 5분할하여 자연적변화지는 5년 주기로 인위적 변화지는 매년 갱신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간 구축된 임상도 DB의 일관성을 알아보고자 파편화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산림 패치수(Number of Patches)는 증가하고, 평균패치크기(Mean of Patch Size)가 감소하여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증가하였으며, 17개 광역시·도 중 4개의 지역은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감소하여 지역 간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산림의 구분’항목에서 최소구획면적은 0.1ha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도에서 구획된 객체(폴리곤 단위)면적을 산출하여 최소구회면적 기준을 검토한 결과 전체 객체 중 최소구획면적 기준 미만이 되는 객체의 비율은 약 26%나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갱신 주기와 정의 확립이 필요하며, 최소구획면적 기준에 대한 구획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작업매뉴얼의 속성에 관한 사항은‘수종변화’항목에서 지형지물체계를 52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입목지는 43종으로 분류하고 있어, 임상도에서 구축된 수종정보를 추출하여 분포비율을 검토하였다. 입목지 수종 중 분포비율이 0.1% 미만인 수종은 23종으로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종은 소나무와 기타수종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무립목지의 관목덤불은 지형지물체계에서 분류하고 있지만,‘산림의 구분’항목에서는 정의 및 판독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수종변화’의 지형지물체계의 재정립과 관목덤불에 대한 정의 정립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methods of “Forest Type Map Actualization Production (Database (DB) Construction Work Manual)”(Work Manual) identify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methods,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m by applying evaluation items to a 1:5k digital forest type map. The evaluation items applied to a forest type map were divided into zoning and attributes, and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processes and methods of Work Manual were derived throug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 structure and fragment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s. Korea is divided into five divisions, where one is set as the area changed naturally and the other four areas set as the area changed artificially. The area changed naturally has been updated every five years, and those changed artificially have been updated annually. The fragmentation of South Korea was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the DB established for each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patches increased and the mean patch size decrease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agmentation and the complexity of shapes increased. The degree of fragmentation and the complexity of shapes decreased in four regions out of 17 regions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patial variations. The “Forest Classification” defines the minimum area of a zoning as 0.1ha. This study examined the criteria for the minimum area of a zoning by estimating the divided object (polygon unit) in a forest type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pproximately 26% of objects were smaller than the minimum area of a zoning. The results impli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definition and the regeneration interval of “Areas Changed Artificially and Areas Changed Naturally”, and improve the standard for the minimum area of a zoning. Among the attributes of Work Manual, “Species Change” item classifies terrain features into 52 types, and 43 types of them belong to stocking land. This study examined distribution ratios by extracting species information from the forest type map. It was found that each of 23 species, approximately 53% of species, occupied less than 0.1% of Forested land. The top three species were pine and other species. Although undergrowth on unstocked forest land are classified in the terrain feature system, thei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criteria are not established in the “Forest Classification” item.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reestablish the terrain feature system and set the definitions of undergrowth.

서 론
연구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