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능력상실율 평가는 손해배상액 산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월급100만원의 근로자가 사고로 정년까지 10년(120개월)간 노동능력이 100% 상실되었다면 1억2천만원의 손해액이 산정된다. (미래 손실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야하기 때문에 중간이자를 공제하여야 한다는 점과 해당 사고에 기여한 피해자의 과실은 제외하고 산정) 동일한 노동자가 20%의 노동능력이 상실(장해율)되었다면 2,400만원의 손해액이 산정될 것이다.
이렇게 노동능력상실율의 평가는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공정하고 공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동차보험회사는 오래전부터 자신들이 임의로 해석한‘맥브라이드 해설서’를 고용손해 사정사와 자문의사에게 배포하고 그 기준대로 평가할 것을 주문하였다.
맥브라이드 원전의 체계는 그 마지막 출판이 1963년인 만큼 오래되어 그 원서를 구할 수도 없고 영어본이라는 점 때문에 손해보험회사 등이 자동차보험표준 약관에 직업계수를 임의로 옥내근로자와 옥외근로자의 계수 두 가지만 적용하도록 제정하여 사용하는 등 여러 문제가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원전에서 표기한 구체적 기준들이 보험회사의 편의에 맞춘 체계에 의해 누락되고 왜곡되면서, 노동능력상실율 평가에 객관성도 모호해져 의사들조차도 객관적인 지표를 가지고 장해율을 판정할 수 없다. 대표적인 예로, 주로 사용하는 팔이 아닌 경우에는 장해율을 10%를 감산하여야 하는 점, 연령에 따라 장해율이 가산되는 점, 유사한 직업을 찾아 직업계수를 적용할 수 있는 점이 누락되었다. 이런 누락과 애곡은 결국 장해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를 보상의무자와 피해자 양측에서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낳을 수 있고, 더 큰 분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논문은 얼 멕브라이드의 제6판 서적을 누락이나 왜곡 없이 원문 그대로 제시하여 장해평가 시 생길 수 있는 분쟁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하였다.
Disability evalu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alculating damage compensation. For example, if a worker with a monthly salary of 1 million won lost 100 percent of his or her labor capacity for 10 years (120 months) until retirement age, the amount of damage would be 120 million won. (Since the future loss should be calculated at current value, the intermediary interest deductions and the fault of the victim in the accident i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calculation) If the same worker lost 20% of his or her labor capacity the amount of damage would be calculated as 24 million won.
As such, the evaluation of the rate of loss of labor capacity (Disability rate) should be fair and impartial since it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s.
Nevertheless, the auto insurance companies in South Korea have made an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McBride manual and distributed them to Employment Damage Assessment Officers and consultants for them to utilize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s the standard for evaluation. Since Earl McBride's system was last published in 1963,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original copy of McBride, and since it is in English, there are many abuse of this system in contemporary society for example the insurance companies have arbitrarily set the occupational factors of jobs named in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for automobile insurance into two simple categories: indoor laborer and outdoor laborer. As specific explanations in the original text are omitted and distorted in favor of insurance companies, the objectivity is also obscured in assessing the disability rate, causing the doctors to judge the disability rate with subjective indicators. For Example, the fact that 10% of disability rat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your non-main arm is hurt, proportionality of disability rate according to age and similarity in application of occupational factor for similar job is omitted. These distortions can result in disagreement of both sides' recognition of a reasonable assessment of disability and lead to larger dispute. This paper is made with the purpose of resolving disputes that may arise in the assessment of disability by presenting Earl McBride's sixth edition book without omission or distor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