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시편의 최종형태 속에서 시편 132편의 중심적인 메시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방법론은 2008년에 출판된 저자의 이전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The Strategic Arrangement of Royal Psalms in Books IV-V,” WTJ 70). 제 1-3권에 전략적으로 배치된 제왕시(시편 2, 72, 89)와 마찬가지로 시편 132편도 제왕시로서 다윗 언약에 대한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현재 위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왕시들 중에서 다윗 언약 주제가 시편 89편과 시편 132편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른 제왕시들과는 달리 이 두 시편은 버리트, 샤바, 마쉬아흐와 같은 핵심어를 두드러지게 공유하고 있다. 이 논문은 다윗 언약 주제가 시편 89편에서 시편 132편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 시편 간의 분위기의 변화도 시편의 최종형태 속에서 시편 132편의 메시지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편 89편의 탄식의 목소리는 시편 132편에서 사라진다. 시편 89편에선 야훼께서 다윗계 왕을 폐위시키지만 시편 132편에선 그를 왕좌에 앉힌다. 시편 89:39에선 기름부음 받은 자의 왕관이 더럽혀지지만 시편 132:18에선 그의 왕관이 “광택을 발할 것이다.” 시편 132편의 분위기가 변화된 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포로에서 돌아온 후 포로 후기에 이스라엘 가운데 메시아 희망이 재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 제럴드 윌슨이 주장하듯이 다윗 언약의 희망이 시편 89편에서 공중으로 증발해 버린 것이 아니란 사실을 시편 132편의 전략적 배열이 드러냄을 이 연구는 보여준다. 이 해석은 시편의 최종형태의 편집 동기에 대한 윌슨의 견해를 근본적으로 뒤집게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entral message of Ps 132 in 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based upon my previous study which was published in 2008 (“The Strategic Arrangement of Royal Psalms in Books IV-V,” WTJ 70). As with the strategic arrangement of royal psalms in Books I-III (Pss 2, 72, 89), Ps 132 as a royal psalm is strategically located at its current position in order to impart a special message about the Davidic covenant. Among the royal psalms, the theme of the Davidic covenant is most prominent in Ps 89 and Ps 132. Both psalms share such key words as berit, shaba, and mashiah explicitly unlike other royal psalms. The focus of this paper is laid on the movement of the theme of the Davidic covenant from Ps 89 to Ps 132. The changes of the mood between these psalms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the message of Ps 132 in 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 The voice of lament in Ps 89 is gone in Ps 132. Yahweh dethrones the Davidic king in Ps 89 but He enthrones him in Ps 132. The crown of the anointed is defiled in Ps 89:39 but his crown “will shed its luster” in Ps 132:18. The changes of the mood in Ps 132 reflect the resurgence of the messianic hope in Israel in the postexilic period after the people returned from exile.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strategic placement of Ps 132 indicates the hope of the Davidic covenant did not evaporate in the air in Ps 89 as Gerald Wilson argues. This interpretation will lead to a radical revision of Wilson’s view on the editorial motivation of the final shape of the Psa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