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 길의 재현과 어린이들의 생활공간
Representation of the Roa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Children’s Living Space
박재철 ( Park Jae-cheol )
UCI I410-ECN-0102-2019-900-001742267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길’을 분석하여 길이 어떻게 재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어린이들의 실제 생활공간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길은 고장의 상징으로 재현되어 있었다. 둘째, 길은 개발과 발달의 결과로 재현되어 있었다. 셋째, 길은 대표적인 공공장소로서 재현되어 있었다. 이러한 길의 모습과 어린이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의 시각이 아닌 다수의 외부자의 시각이 강조가 되어있어서 어린이들의 생활공간과 연관성이 적었다. 둘째, 도시의 특징으로만 길을 제시하여 어린이들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다. 셋째, 어린이들이 길에서 제외되었으며 길은 어린이들에게 위험한 장소로 재현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교과서 내러티브 서술 속에 어린이들의 삶을 더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어린이들의 실제 생활공간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지역화 교과서의 집필 과정에서 어린이들의 의견수렴 단계가 포함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oad’ re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looked at how the road was re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we look at ways to reflect the actual living space of childre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The result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oad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is as follows. First, the road was represented as a symbol of the town. Second, road was represented as a result of development and development. Third, the road was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public pl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ad and the children is as follows. First, the view of many outsiders, not children’s, was emphasized, so there was little connection to the children’s living space.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fusion among children by presenting roads only as characteristics of cities. Third, the children were taken out of the road and the road was represented as dangerous places for children.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more on children’s lives in textbook narrative descriptions. Second, children’s opin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writing process of localized textbook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actual living space of children.

I. 서 론
II. 길과 공간의 재현
III. 분석방법 및 대상
IV. 길의 재현된 모습
V. 재현된 길에 담겨있는 의미
VI. 재현된 길의 이미지가 초등 사회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
VII. 결 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