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20
3.15.20.220
close menu
KCI 등재
선호캐릭터의 감성평가
The Affective Estimation of Preferred Characters
한혜진 ( Hyejin Han )
한국디자인포럼 62권 81-90(10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544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선호캐릭터 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 경험 연령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주요 선호 캐릭터에 대한 색채분석과 SD 법을 통한 감성평가를 시행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선호캐릭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산업은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의 캐릭터가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3세 때 접한 캐릭터의 경험이 선호캐릭터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호캐릭터에는 고명도의 따뜻한 색채가 많이 쓰였고, 친근감과 낯익음과 같은 시대성 인자가 캐릭터 감성평가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자분석을 통해 친근성과 선호성이 선호캐릭터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국산 애플리케이션 캐릭터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015년도의 캐릭터 조사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캐릭터가 높은 선호순위로 등장하고 있어 향후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industry of characters is receiving attention again according to increase consuming characters. The kidult, who is consumer of preferred characters in childhood, makes widen generation of customers.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ges on the character’s experience were investigated by subjects between the end of teenagers and the middle of twenties. Moreover, the color analysis and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the preferred characters were researched for defining the feature of the characters. Result In results, the animation is the most related industry of preferred characters. And, Japanese characters were preferred. The experience of character when they were three years old plays role for selecting the preferred characters. It showed strong connection with kidults, the main consumer of characters.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high lightness and warm colors were used for the characters. The trend of the time (close, familia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preferred characters. Moreover, familiarity and preference were the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preferred characte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urvey of 2015, application characters were appeared in this results as a higher ranking order, so th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1. 서 론
2. 캐릭터의 선호도 조사
3. 캐릭터의 색채분석
4. 캐릭터의 감성평가
5.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