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8개월 동안의 헤드라인 뉴스에 대한 미디어 수용자 인식 및 주관적 특성 연구: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의 1면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dia Consumer’s Cognition and Subjectivity Regarding Newspaper’s Headlines for 8 Months after President Moon Jae-in’s Inauguration
최원주 ( Won Joo Choi ) , 홍장선 ( Jang Sun Hong )
DOI 10.23875/kca.27.1.7
UCI I410-ECN-0102-2021-300-000349185

본 연구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의 헤드라인 뉴스에 대해서 미디어 수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며, 판단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취임 이후 신문사의 뉴스보도에 대해 밀월(蜜月)적인 혹은 정치적 허니문 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표현된 헤드라인이 어떻게 소비되고 이해되는가에 대해 미디어 수용자들의 선호나 만족, 동의와 같은 그들의 주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인간의 주관성 연구 방법이자 분석방법인 Q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48개의 Q 표본과 28개의 P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유형을 발견하였고, 그 특성이 종합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각각 명명화 작업을 하였다. 제1유형은 ‘새로운 변화에 대한 기대’로서, 새로운 정부의 출범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지지하는 특성이 나타났고, 제2유형은 ‘혁신에 대한 반신반의’로서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대해 기대감과 의심이 공존하는 특성이, 제3유형은 ‘문대통령에 대한 애정과시’로서 절대적인 지지를 넘어 무한 애정을 과시하는 특성을 보여줬다. 발견된 유형을 바탕으로, 헤드라인 뉴스를 접하는 미디어 수용자에 대해 새롭게 유형화된 특성을 바탕으로 미디어 관계자들과 정치인들이 어떻게 응대해야 할 것인지 새로운 시사점을 부여하였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how the media consumers understand and judge regarding newspaper’s headlines after president Moon Jae-in’s inauguration. Particularly, the study examines how much the media consumers like, assent or satisfy media headlines in various perspectives during the political honeymoon period between president and media directly after president Moon Jae-in’s inauguration. To analysis of consumer’s subjectivity, the author adopted distinctive Q-methodological Approach and used QUANL analyzing system. Total of 48 Q samples and 28 P samples have been collected. The study identify 3 categories of user types were discovered. The first type is ‘The expectation of new changes’. These respondents tend to support the new government with expectancy. The second type is ‘The doubt of innovation’. Those answerers tend to combine both expectation and doubt. The last type is ‘Display of affection regarding Moon Jae-in’. This type boasts the unbounded affection beyond the political support. With three types of categories, media and politicians anticipate the media consumer’s behavior regarding media reports and how they can expect the next political polici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 부록 : 최종 Q 표본 (48개)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