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노인들의 의사소통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말명료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재취업에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 55명을 대상으로 자음정확도, 단어명료도, 문장명료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 단어명료도와 문장명료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0대, 70대, 80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명료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 자음정확도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음정확도, 단어명료도 및 문장명료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서로 매우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자음정확도와 단어명료도는 문장명료도와의 상관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경우 단어수준에서의 자음정확도는 유지되나 문장수준에서 명료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사회생활과 재취업의 기회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문장 수준에서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clarity which can interfere with the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and to find out the causes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successful social life and reemployment. We analyzed the consonant accuracy, word clarity, and sentence intelligibility of 55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d clarity and sentence clarity according to age. 60s, 70s, and 80s, the intelligibility level was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consonant accur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sonant accuracy, word clarity, and sentence clarity. Consonant accuracy and word clarity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correlation with sentence clar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consonants at the word level is maintained in the elderly, but the level of clarity at the sentence level is significantly lowered. These results may have a very bad influence on the social life and job opportunities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