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도시공원은 도시에서 생존에 필요한 건강문제의 해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센트럴파크를 통해 확산된 미국 공공공원(Public Park)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공원조성의 5대 가치 중 공원의 보건적 가치가 제일 처음 등장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센트럴파크 설계자이자, 조경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 1822∼1903)는 "지금 이곳(센트럴파크)에 공원을 만들지 않는다면, 100년 후에는 이 넓이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것이다."라고 할 정도로 공원의 역할 중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건강 증진의 역할을 최고의 가치로 뽑았다. 최근에는 공원의 기능과 혜택이 다양한 측면에서 입증되어, 공원의 보건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희석되고 있을 정도이다. 무엇보다도 공원의 존재 이유는 바로 국민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세계 유수의 녹지 선진국들은 국민건강을 위해 생활권 내 공원의 양적 확보와 함께, 질적 향상을 위해 지금도 노력 중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존의 단순한 조성위주의 공원 사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설관리 등을 위한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노령화 사회로 진입한 현 시점에서 건강문제에 특히 관심이 많은 노인들을 위한 공원은 제도적으로도 존재하지 않는다. 중년들을 위한 인생 2모작 프로그램으로 식물과 정원을 이용한 각종 실용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고, 청년들을 위한 창업프로그램도 공원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전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어린이공원 역시 지금처럼 방치되어서는 안 된다. 공원 이용은 연령의 제한도, 성별의 제한도, 국적의 제한도 없다. 모두가 함께 참여하고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치료 위주의 병원에서 예방위주의 공원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The first urban park is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ettlement of health problems needed to survive in the c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park's health value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role of the Central Park, New York. Frederic Law Olmsted(1876-1946) said that if we don't build a park in this place(the Central Park) right now, we'll need a mental hospital corresponding to this area after a hundred year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ason for the park lies i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prevention of disease. Moreover, the world's leading nations are also known to be striving for quality improvement, coupled with quantitative improvements in the public park for the sake of national health. There is a need to seriously agonize about the quality improvement plans for the park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In spite of at the era of an aging society, there are no park for senior citizens who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health care.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practical programs for the Middle Ages is necessary for middle-aged adults,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programs for youth needs to be implemented at various angles. Children's parks also should not be left unattended like this. There are no restricts in the age, gender, and nationality to enjoy the parks. The paradigm of health care should be changed to the prevention in the parks from the treatment in the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