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897) 문인사대부들이 묵란화(墨蘭畵)를 유가적 관점에서 전개하였다는 측면에 한정하여 그들의 작품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묵란화의 본질을 규명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묵란화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공자(孔子, BC 551-479)의 은곡유란(隱谷幽蘭)과 두 가지 지란(芝蘭) 고사’를 미리 고찰해 보았다. 은곡유란 고사는 유가적 예술로서의 묵란화 발생의 중요한 초석이다. 지란지실(芝蘭之室)과 지란생심림(芝蘭生深林) 고사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공자는 향기로운 지란(芝蘭, 영지과 난초)을 ‘맑은 덕성(德性)과 절의(節義)를 지닌 군자’에 비유하였다. 그러므로 난초가 군자를 상징하게 되고, 유가적 예술인 사군자(四君子, 梅蘭菊竹)의 한 분야로서 묵란화가 전개될 수 있었던 역사적 근본 뿌리는 두 가지 지란(芝蘭) 고사임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문인사대부 중에서 공자 사상에 영향을 받아서 화제나 묵란화와 관련된 글을 전개한 3인, 권돈인(權敦仁, 1783-1859)·김정희(金正喜, 1786-1856)·윤용구(尹用求, 1853-1939)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가적 관점에서 문인사대부의 전형적인 묵란화 작품세계는 공자의 은곡유란과 지란 고사에 내포된 교화와 수양적 의미 ― “난초 향기처럼 맑은 성품의 벗을 가까이하며, 인간의 도리를 닦고 덕을 쌓으며, 곤경에 처하더라도 절의(節義)와 지조를 지켜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 ― 를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문인사대부의 화제나 묵란화와 관련된 글을 통해, 공자 사상의 구절들을 인용하여 설명함으로써 묵란화의 수신(修身)과 수양적 역할을 더욱 구체화시켜 전개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the realm of literary noblemen's ink orchids(墨蘭畵) in Joseon period to a specific aspect that ink orchids were developed from Confucian viewpoint and consequently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ink orchid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aforementioned research goals, the literature review covers ‘Orchid in the hidden valley(隱谷幽蘭) and Zhilan(芝蘭) stories of Confucius’ that serve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ink orchids. As Orchid in the hidden valley story is an important basis for ink orchids to be developed as Confucian art. Zhilanzhishi(芝蘭之室) and Zhilanshengshenlin(芝蘭生深林) show that Confucian likened fragrant zhilan(芝蘭, ganoderma lucidum and orchid) to ‘man of virtue(君子) with pure moral nature and honor’. Thus, the literature review demonstrates the ground that orchid symbolizes man of virtue and ink orchid becomes one of Four Gracious Plants(四君子,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the Confucian art form, is derived from the two Zhilan storie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nalyze works of Kwon Donin(權敦仁, 1783-1859), Kim Jeonghee(金正喜, 1786-1856) and Yun Yonggu(尹用求, 1853-1939), Joseon literary noblemen who directly expressed Confucian ideas on ink orchids and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The realm of literary noblemen's typical ink orchids from Confucian viewpoint is projection of self-discipline and educational meaning contained in Confucius' Yinguyoulan and Zhilan stories ― his teaching that “One should socialize with good-natured people like orchid scent, improve duties as human and cultivate virtues and keep integrity and loyalty in spite of any difficulties”. Also it is found that Joseon literary noblemen discussed ‘attitude and method for painting orchid’ in linkage with Confucian phrases which deepened development of ink orchids with roles to achieve moral training and self-discip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