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76.209
18.188.76.209
close menu
KCI 등재
제주 방언의 인용 표지 연구
A study on quotation marker of Jeju dialect
김미진 ( Kim Mi-jin )
영주어문 41권 29-55(27pages)
DOI 10.30774/yjll.2019.02.41.29
UCI I410-ECN-0102-2019-700-001656435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인용문에서 나타나는 인용 표지의 문법화와 간접화 과정을 알아보고 문장 종류에 따라 간접 인용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앙어의 직접 인용문에서는 ‘-라고’와 ‘-하고’를 인용 표지로 사용하고, 간접 인용문에서는 ‘-고’를 사용한다. 제주 방언에서는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에서 사용하는 인용 표지가 하나의 형태 ‘-엔/엥’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 방언의 인용 표지 ‘엔/엥’은 중세국어 ‘□야’에서 비롯된 것이다. ‘□야’에서 ‘□’가 탈락하여 ‘-야’만 남고 여기에 ‘ㄴ/ㅇ’이 결합된 것에 ‘ㅣ’모음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것이 현재의 ‘-엔/엥’이다. 방언 문법 기술에 있어 중앙어 중심으로 생각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제주 방언의 인용문도 중앙어 인용문의 기준에서 보면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문장 종류에 따라 어미가 중화되어 간접 인용 표지로 사용되어야 하는데 중화되지 않은 채 여러 가지 어미와 결합하는 인용 표지를 볼 수 있다. 또한 간접 인용문에서는 상대 높임이나 인칭대명사가 간접화되어야 하는데 제주 방언에서는 직접 인용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용 표지만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중앙어 중심이 아니라 출발점을 방언으로 잡을 필요가 있다. 중세어에서 현대어로 바뀌는 가운데 그 과도기적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방언, 특히 제주 방언이다. 따라서 간접 인용은 형성 초기에 다양한 형태의 종결어미에 인용 표지가 결합된 모습으로 나타나다가 점차 현대의 모습으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다. 직접 인용문의 인용 표지 ‘엔’이 종결어미와 축약하여 발음하던 것이 간접 인용의 원형이었으며 점차 현재의 중앙어와 같이 문장 종류에 따라 종결어미가 간접화하여 간접 인용문이 완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origin and indirectization process of quotation markers presented in the quotation of Jeju dialect, and review how they appear depending on the sentence type. The central dialect uses ‘라고’ and ‘하고’ as direct quotation markers, and uses '고' as an indirect quotation marker. The quotation markers used in direct quotation and the indirect quotation in Jeju dialect are known as ‘엔/엥’ a form. ‘엔/엥’, the quotation marker of Jeju dialect was originated from ‘□야’, Korean in the middle age. ‘□’was eliminated from ‘□야’, only ‘야‘ remained and ‘ㄴ/ㅇ’ was combined and vowel addition, resulting in ‘엔/엥’ nowadays. Since the grammar of dialect is mad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the conflicts with central dialect was not admitted. When judging by the criteria of central dialect quotation, the quotations of Jeju dialect are full of strange things. The ending is neutralized depending on the type of sentence, and used as indirect quotation marker, but many quotation markers appear in the same type of sentence depending on the ending. In addition, relative honorific or personal pronoun should be indirectized in indirect quotations, but sometimes only indirect quotation marks are used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direct quotations. It is necessary to start the study from dialect in order to explain this. The thing which maintains its transitional status while changing from medieval language to modern language is the dialect, especially Jeju dialect. Therefore, the indirect quotation has changed from the imperfect shape in which the quotation markers ar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ending into the modern sophisticated shape. ‘엔’ abridged and pronounced with ending was the prototype of indirect quotation. The ending sentence was neutralized depending on the sentence type like modern central dialect, and the indirect quotation was completed.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인용 표지의 문법화
4. 인용문의 간접화
5. 문장 종류에 따른 인용 표지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