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 경기, 서울 및 기타 소재의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여학생 64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실수에 대한 염려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수행에 대한 의심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bot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sample population was 645 college students from Incheon, Gyeonggi, Seoul and other area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on SPSS Win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variable concern over mistakes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students’ level of social anxiety. Second, the variable doubt about actions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depression. Thir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bot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ut i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or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