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상담가의 양육체험을 통해 ‘세대 간 전이’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확장하는데 목적을 둔다. ‘세대 간 전이’에 관한 문(文)적 개념화는 세대 간 대물림의 다양한 현상을 드러내는데 한계를 지닌다. 이에 양육이슈에 민감한 아동상담가들의 자녀 양육체험 내러티브를 통해 양육사를 탐구하고 더 나은 양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삼차원적 탐구 공간 안에서의 아동상담가의 내러티브에 천착하는 일은 그간 추상적이었던 ‘세대 간 전이’의 담론을 구체적 현상으로 재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사 바탕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세대 간 전이’의 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대 간 전이’를 시간성, 상황성, 상호작용성으로 분석, 해석한 결과 내용적으로는 ‘일체-화(一體-化) VS분신-화(分身-化)’로, 방식적 측면에서는 ‘고수-화 VS 변형-화’로 나타났다. ‘일체-화’와 ‘분신-화’ 간의 차이는 원가족인 어머니와의 합일 정도를 자각하고 용인하며 실천하는 수준과 관련되었다. 이 과정은 또한 자신의 ‘경계-찾기’의 시간성을 수반하였다. 방식적 측면에서의 ‘고수-화’, ‘변형-화’는 다양한 객관적 자아를 찾으려는 시도와 연관되었다. 하지만 자신이 곧 어머니라는 세계에서 비롯되었고 어머니라는 객관적 자아의 상당부분이 자신의 주관적 자아와 중복된다는 모순을 깨닫는 것은 중요했다. 따라서 다양한 객관적 자아와의 만남은 필요했다. 모순을 반영하는 정도와 더불어 어머니의 양육적 삶을 ‘이해’하는 과정은 자신의 양육적 삶을 재해석하고 다시 살아갈 양육적 삶을 동기화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적 존재로서 양육적 삶을 사는 많은 주체들을 두 어머니의 양육 내러티브로 연결함으로 ‘세대 간 전이’가 부정적, 긍정적 영향력을 넘어서 선행된, 재해석 및 재구성될 삶의 현상이며 과정으로 ‘경계-찾기’와 ‘이해-되기’의 시간성 속에서 추진되어야 할 점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at view-expending on generational transmission based on nurturing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mother. Overall definition about generational transmission has limitation that not revealing abundant nurturing phenomena. So through nurturing experience narrative based on two child counselor-mother who have been sensitive, explorations to become better mother for better nurturing have been conducted. Leading from abstract to concrete on generational transmission is so much meaningful. It would be possible that expending of generational transmission’s shape based on nurturing-history telling both two child counselor-mother. Generational transmission is consisted on continuity, situation, interaction, the result is revealed at ‘becoming confusion’ vs ‘becoming dissociation’ in content. Also ‘becoming adherence’ vs ‘becoming transform’ in way can be found. Differences between ‘becoming confusion’ and ‘becoming dissociation’ are related to how they can alert, tolerate and practice. It is also connected to ‘seeking boundary’ between their own mother and herself through continual time. Several objective ego explorations from symbolic interactionism are needed for better ‘becoming dissociation’ from their own mother. In this process, contradictions have accompanied. Beyond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perspective about generational transmission, connected mothers with intersubjectivity are required ‘understanding’ of their own mother’s nurturing as well as theirs. Serious reinterpretation of their nurturing life can lead to change their real 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