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의 ‘미안해요 베트남’ 운동과 ‘베트남전 시민평화법정’
The ‘Sorry Vietnam’ Movement and Civil Tribunal on the Vietnam War in Korea
윤충로 ( Yoon Chung Ro )
DOI 10.37743/SAH.120.5
UCI I410-ECN-0102-2019-300-001432239

이 글은 시민평화법정을 중심으로 최근 한국의 베트남운동의 변화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한·베 간 국가수준에서 전개되는 전쟁 기억의 갈등 양상과 특성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한국의 베트남운동과 베트남 측 ‘생존자들’의 연대를 ‘초대에 의한 정의’의 구현이라는 입장에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시민평화법정의 주체를 한국의 베트남운동(원고 측 대변인), 부인하는 국가(피고 측 대변인), 베트남인 생존자(증인)로 나누어 각 주장의 기본적인 맥락과 담론 구성의 특성을 검토했다. 각 주체의 목소리는 식민지배, 분단, 전쟁의 경험과 기억으로 점철된 20세기 폭력 구조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기 위한 노력을 체현하고 있다. 베트남전시민평화법정을 중심으로 드러나는 한·베 간 ‘고통의 연대’는 아래로부터 냉전을 해체해가는 하나의 방식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analyzes changes and features of the recent Vietnam movement in Korea with a focus on the People’s Tribunal on War Crimes by South Korean Troops during the Vietnam War (April 21 and 22, 2018). It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confli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r memories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 in both Vietnam and Korea. Next, the term ‘justice by invitation’ is applied to explain the solidarity between NGOs interested in transitional justice and the Vietnamese survivors. Finally,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dividing the subjects of the tribunal into Korea’s Vietnam participants (plaintiff spokesmen), the denying nation (defendant spokesmen), and Vietnamese survivors (witnesses). Each of these groups and their voices embodied not only the structure of in 20th century violence, but also efforts to transcend this structure as reflected in colonial, national division, and war-time experiences and memories. The shared “solidarity of pain” experienced between Vietnam and Korea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the Civil Tribunal provides evidence of one way in which cold war hostilities can be dismantled from below.

1. 머리말
2. 연구 방향과 내용
3. ‘지연된 정의’와 부인하는 국가
4. 기억에서 행동으로: ‘베트남전 크로노토프’의 변화와 재구성
5. 베트남전 시민평화법정: ‘부인’과 ‘시인’ 사이
6.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