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 요
2013년에 데뷔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은 역대 한국 가수 중에서 전 세계 10~20대 층을 중심으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 가수 중 빌보드 HOT100 최고 진입 순위인 10위를 기록했고, 최초로 빌보드200 1위를 달성했다. 방탄소년단의 인지도 및 인기 상승은 2017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구글 검색량 및 유튜브 조회수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방탄소년단의 인기 상승이 국내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방탄소년단의 인기 상승이 외국인관광객수 및 주요 소비재수출액 증가 채널을 통해 국내 경제에 미친 파급 효과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 방탄소년단의 주요 성공 요인
방탄소년단의 대표적인 성공요인으로는 자신의 스토리와 청춘들의 고민을 담은 가사, 서사 구조가 있는 앨범과 콘서트, 팬과의 적극적인 온라인 소통, 두터운 팬층(ARMY)의 전폭적인 지원 등이 있다. 먼저 방탄소년단 전 멤버들이 직접 작사·작곡에 참여하며 현재 10~20대의 관점에서의 진솔한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를 전달하여 국적을 불문하고 많은 공감을 얻었다. 둘째, 방탄소년단의 앨범과 콘서트는 서사 구조를 지닌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어 관객과 팬들의 흥미를 끌고 다음 앨범과 콘서트에 대한 기대감을 형성하였다. 셋째, 소셜네트 워크서비스(SNS), 영상콘텐츠 등을 이용하여 팬 및 콘텐츠 이용자들과의 적극적으로 소통하였다. 넷째,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ARMY)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두터운 팬층이 방탄소년단의 흥행을 지원하였다. 특히 음원 판매, 공연, 각종 방송 및 시상식 투표로 이어져 방탄소년단의 활동무대가 국내를 넘어 세계로 더욱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 방탄소년단의 경제적 효과
(분석방법) 방탄소년단의 인기를 계량화하기 위한 대리변수로 구글 트렌드(Google Trend)의 검색량을 활용한다. 회귀분석의 종속변수는 외국인관광객수와 주요 소비재추출액(의복류, 화장품류, 음식류)이며, 설명변수로 방탄소년단, 한국드라마(Korean drama) 및 한국가요(Korean pop)의 구글 검색량, 전 세계 산업생산, 실질실효환율, 교역조건 등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에서 추정된 방탄소년단의 외국인관광객수 및 소비재수출액의 제고효과를 바탕으로 경제 내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계산하였다.
(회귀분석) 종속변수가 외국인관광객수인 회귀분석에서 방탄소년단의 인지도가 1p 증가할 경우 3개월 이후 외국인관광객수 증가율은 0.45%p 증가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방탄소년단 콘서트 관람 등으로 인해 인접 국가들로부터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방탄소년단이 데뷔한 시점 이후 방탄소년단의 인지도 상승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수 증가 효과는 연평균 약 79.6만명이다. 종속변수가 주요 소비재수출액인 회귀분석에서 방탄소년단의 인지도가 1p 증가할 경우 당월 주요 소비재수출액 증가율은 의복류 0.18%p, 화장품 0.72%p, 음식류 0.45%p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 이는 공식 광고, 혹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노출된 소비재 등의 외국인 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3년 이후 방탄소년단의 인지도 상승과 주요 소비재수출액 증가 효과를 계산하면 연평균 의복류는 2억 3,398만달러, 화장품은 4억 2,664만달러, 음식류는 4억 5,649만달러 규모이다.
(총경제적효과)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외국인관광객 소비와 소비재수출액 증가 효과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계산하면, 외국인 관광객 유입의 생산유발액은 약 1조 6,3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약 7,200억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주요 소비재수출액에 대한 생산유발액은 2조 5,1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약 7,000억원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총 경제적 효과는 연평균 약 4조 1,400억원의 생산유발과 1조 4,2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 효과인 것으로 계산된다. 향후 5년간 방탄소년단이 2013~2018년간 인기 상승의 평균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가정할 경우 데뷔 이후 10년 간(2014~2023년) 총 경제적 효과를 2018년 가격 기준으로 환산하면 생산유발효과는 41조 8,6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약 14조 3,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시사점
문화산업 전반으로 한류가 확산되고 한류 확산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류의 확산 및 진화를 통해서 문화 산업의 선진화를 본격화해야 한다. 둘째, 한류 현상을 제조업 수출과 연계하여 한국의 인지도 제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 기업 브랜드 및 제품을 세계에 지속적으로 전파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국내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드라마, 영화 등 영상 콘텐츠를 통해 전략적으로 홍보하고, 맞춤형 패키지 관광 상품 개발을 통해 외국인 관광 수요를 견인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