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인성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urvey Tool for the Scientific Character of Elementary Student
남일균 ( Ilkyun Nam ) , 임성민 ( Sungmin Im )
UCI I410-ECN-0102-2019-300-001403949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 맥락에서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인성적 특성을 파악하여 과학교육과 인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접목하는 초등학생용 과학인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인성을 구체적인 과학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하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차용하였으며, 이에 기반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교수학습 맥락 속에서 추구하는 덕목을 실천 할 수 있는 역량을 측정하는 ‘초등학생 과학인성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검사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초등학생 과학인성 검사도구는 과학적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역량, 자기성찰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참여역량, 세계시민의식, 환경윤리의식 등의 8개 하위 구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고 문항은 최종 28개 문항으로 정리되었다. 최종 정리된 과학인성 검사 도구의 각 하위구인별 신뢰도 계수는 최소 0.5 이상이고 검사 도구 전체로는 0.878의 신뢰도 지수를 나타내며, 산출된 하위 구인들과 전체 과학인성점수 사이에 양호한 수준에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가 과학인성교육의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과학교과를 통해 기를 수 있는 인성의 구인들을 구체적인 과학 교수학습 맥락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밝히고 이를 평가하는 도구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rvey tool of scientific character for elementary student which connects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ffectively by figuring out traits of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 being presented in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is, we adapted the theocratical model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defined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ies being able to practice in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science. Based on this model, we developed the survey tool as ‘Scientific Character Inventory for Elementary Student’ to assess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es to practice the virtues being pursue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l the items could be summarized into 28 items and eight constructs such as scientific problem-solving, self-management,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community participation,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ethics awareness. We found that minimum reliability coefficient of constructs was over than 0.5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total items was 0.878. And also, there was modes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ruct and the total score of scientific charact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survey tool can be useful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reveals constructs of scientific character which can be raised in concret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o as to suggest the survey tool to assess thi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ppendix: 초등학생 과학인성 검사 도구(Scientific Character Inventory for Elementary Stud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