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의 아이디어는 역동적인 사회적 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독일의 산업 4.0 사례에서는 그러한 사회적 대화의 역동성을 관찰할 수 있다. 정부가 미래비전을 세우고 경제인과 연구자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산업 4.0이 국가프로젝트로 거듭났다. 그렇게 되자, 산업 4.0을 실현시킬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연구의 결과를 산업계에서 받아드려 사회적 대화 프로세스를 통해 그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표준화했다. 이어서 산업계의 산업 4.0에 대한 합의는 다시 정부의 참여, 시민단체의 참여, 노동계의 참여를 통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대화 프로세스가 여전히 지금도 온라인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독일 정부는 노동 4.0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작동시키면서 산업 4.0에 따른 노동의 변화 및 대응 방안을 다시 지속적인 사회적 대화로 풀어갔다. 독일 정부는 국가전략을 이렇게 사회적 대화를 통해 전략 추진에 대한 공감대와 정당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이 글은 독일의 산업 4.0과 노동 4.0의 사례를 통해 ‘지속적 소통으로서 사회적 대화 프로세스’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산업 4.0의 기원이 되는 『첨단기술전략』의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 다음 산업 4.0과 노동 4.0의 전개과정을 사회적 대화의 틀로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사회적 대화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An Idea could cause to get up social dialogue. Such a moving dialogue can be observed in the german case of industry 4.0. German government built up future vision and through communicating with business men and researchers the industry 4.0 was reborn as state’ project. So in these process, the researches was promoted to realize the industry 4.0. The industry sectors have accepted the results of researches and have standardized the concrete methods of actualization by doing social dialogues. The consensus of the industry sectors about the industry 4.0 has been reviewed by government, NGOs, labor organization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al dialogues which are going on the online < platform industry 4.0 >. In addition to this dialogue process, the german government began to activate a new platform of dialogue that is ‘work 4.0’ in order to resolve the worker’s conditions. So keeping social dialogues the german government has gotten the legitimacy and empathy for the driving of state’s strategy. This article is aimed to reveal ‘the social dialogues process as a keeping communication’ by studying the case of industry 4.0 and work 4.0. To do this, firstly HTS(High Tech Strategy) will be studied, secondly industry 4.0 and work 4.0 will be analyzed in the frame of social dialogues, lastly it will be tried to get the implication for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