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도르트문트시는 전통적 공업도시로 한때 유럽 최대의 공업지역인 루르의 중심도시였다. 그러나 1950년 대 이후 탈산업화로 인해 심각한 피해가 있었다. 그 후 도르트문트는 공격적이고 지속적인 지역재생정책과 사업으로 도시의 면모를 바꾸어 나아가고 있다. 1990년대에는 루르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국제건축공모전으로, 2000년대에는 자체적인 도르트문트 프로젝트로, 그리고 2010년대에는 스마트 시티 전략으로 지역을 혁신하는 가운데 도시의 성장경로를 바꾸어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도르트문트의 이러한 지역재생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그러한 성과가 나타나게 하는 행위주체의 역할과 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제론과 경로이론에 입각하여 필자가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1950s, many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cities of advanced econom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ere affected by a series of de-industrialization. The de-industrializ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company shut-downs and massive lay-offs, has resulted in high unemployment rates and massive redundancies in physical infrastructure. Since the 1980s, many of the old industrial cities have attempted to overcome such problem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not many of the cities are found to be successful. The City of Dortmund, one of the core cities of the large German industrial conurbation of the past, the Ruhr, is found to be an exceptional case demonstrating a clear success in overcoming deindustrialization problems. The City in fact strategically pursued transforming backbone of its economy from steel-making, coal-mining and beer-brewery to high-technology and future-oriented industries, based on microsystems, biomedical, electronic logis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ransforming Dortmund beginning from the 1980s to articulate the roles of the agencies contributing to the su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