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구조적 변화를 겪으며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의 인구와 주택 소비의 변화가 본국과 이주국의 주택 시장 양쪽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서울의 조선족 주택 시장의 형성 원인과 변화는 임대료 시장에 있어서 내국인 주택 시장과는 다른 ‘임대료의 고정 효과’로 인하여 외국인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환 이주 의향이 강한 조선족 집단에 의해 분화된 주택 시장의 밀집은 더욱 심화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 이주 경험이 있는 조선족들이 주요 주택 소비자로 부상하면서, 연길시의 부동산 붐을 일으켰다. 조선족의 주택 투자는 연변 대학을 기준으로 ‘서부’에 집중되어 있는데, 연길시의 주택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기본 계획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주자의 초국가적 주택 소비로 인하여, 본국과 이주국의 주택 시장을 연결함으로써 두 주택 시장에서 발생하는 여과과정을 동시에 일으켜, ‘초국가적 주택 여과 과정(Transnational housing filtering process)’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onsumption of foreigners, which are constantly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affect both the housing market of home and host country. The cause and the change of foreigners’ housing market in Seoul were analyzed to be that the foreigners’ continuous inflows occurred due to the ‘fixed effect of rent’ on the rental marke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omestic housing market. Korean-Chinese, who tend to be circular migration, make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the housing market. Meanwhile, Korean-Chinese, who have experienced migration from Korea, emerged as major housing consumers, causing a real estate boom in Yanji City. Housing investment by Korean-Chinese is concentrated in the ‘West’ from Yanbian University, closely related to the city’s urban planning that affects housing supply. This transnational housing consumption of immigrants connects the housing market of home and host country, in turn, causes the filtering process in the two countries simultaneously, which results the ‘transnational housing filter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