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동남부에는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을 비롯한 대규모 단층곡이 인지된다. 이 두 단층을 포함한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곡들을 총칭하여 양산단층계라고 한다. 그러나 이 단층계의 중요성에 비해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을 제외한 다른 단층곡들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진하다. 본 연구는 이 단층계 중에서 가장 동편의 선형구조인 일광단층 주변에 위치한 봉대산과 대변항 일원에서 화강암 내에 발달한 지질구조들의 상호 절단관계를 통해 고응력변화를 추론 하였고, 이를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검토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일광단층과 평행한 선형구조가 4개 인지되며, 그 중 3개의 선형구조에서 단층의 증거를 확인하였다. 각 선형구조를 따른 단층에서는 좌수향 및 우수향의 주향이동 운동감각이 모두 인지되었다. 이는 선형구조를 따라 반전 다중변형을 겪은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구조들의 상호절단관계를 통해 분석한 응력방향은 1) 후기 백악기에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에 따른 인장단열들이 먼저 발달하고, 2) 북서-남동 방향의 압축에 따른 공액상의 주향이동단층들이 발달하였으며, 3)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에 따라 일부 구조들의 선택적 재활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uge fault valleys, including the Yangsan and Ulsan faults, are recognized. These NNE-SSW trending lineaments are called as a whole Yangsan Fault System. However, this fault system is relatively poorly studied except the Yangsan and Ulsan faults. This study deduced the paleostress history based on the mutual cross-cutting relationships between geologic structures developed in the granite body near the Ilgwang fault, which i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study area, four lineaments parallel to the Ilgwang fault are recognized, and three of them show evidences of faulting. In each lineament, both slip-senses of left-lateral and right-lateral are recognized. It indicates that these faults consistently underwent multiple deformations of inversion along the faults. The inferred paleostress directions based on the mutual cross-cutting relationships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are as follows: 1) Tensile fractures developed in the late Cretaceous under the ENE-WSW direction of compressive stress, 2) NW-SE trending max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generated conjugate strike-slip faults, and 3) selective reactivations of some structures were derived under the compression by the NE-SW trending principal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