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감성지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7곳의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의 긍정적 보상유형은 자기감성이해에 민주적 유형은 감성지능의 타인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의 긍정적 보상유형은 무용수행능력의 수행자신감과 수행집중에, 민주적 유형과 권위적 유형이 수행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지능의 자기감성이해와 타인감성이해는 무용수행능력의 수행자신감과 수행성취에, 감성조절은 무용수행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교사가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감성의 발달 및 무용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법개발 및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에 도움이 되며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leadership type of dance leaders influenc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achievement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330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ward type of the instruction type of the dance teacher showed that the democratic typ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control. Second, positive reward type of instruction type of dance teachers showed that dance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self -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centration, democratic type and authoritative type. Third,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s self - emotional understanding and other people' s emotional understand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 confidenc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of dance performance, and emotional contro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ub -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Thus,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raining method for efficient and appropriate dance education. The study also aims to propose the importance of dancing education metho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