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남도 교육청 내에서 놀이를 매개로 운영된 마을학교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마을놀이 학교에 참여하게 된 학부모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참여하게 된 배경과 참여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마을놀이학교 활동 경험 진술을 토대로 마을놀이학교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마을놀이학교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참여과정의 요인은 교육이라는 공통의 관심이 자신이 속한 개인적인 삶의 영역에서 참여자의 성향대로 관여하고 있었으며, 참여자들의 자발성과 주도성은 적극적인 참여와 운영으로 이어지게 하며 참여자들의 참여 과정에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교육적 함의는 놀이가 주는 유익, 공동체의 개선할 점, 및 바람직한 공동체에 대한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김해마을놀이학교는 학부모들의 자발성과 놀이를 매개로 하여 큰 불만이나 갈등이 없는 공동체를 이루었고 놀이협동조합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참여 과정이 교육 개선을 위한 정치 참여 인식과 욕구로 이어졌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Kimhae Village Play School, a village school that specializes in games organized by the Kyongnam-do Office of Education. We will focus on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parents involved in the school, and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the school's statement on the activities.
Common interests in education regarding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town play school have become involved in the areas of their individual lives, making it a matter of preference for the children's principal interviews with their teacher.
As an educational implication as a village's educational community, the benefits and plans to improve the community as a medium for play could be drawn up and the meanings of the community was given.
The Kimhae Village Play School created a community free from major complaints and conflict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used for play by parents, and made a remarkable achievement of a cooperative association. Such positive participation led to the awareness and desire to participate in politics to impro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