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진단검사는 고대 이집트에서 밀과 보리를 이용한 발아 시험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Hippocrates와 Galen을 거쳐 uroscopy를 활용하던 중세를 넘어 1800년대 초반까지도 비과학적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중반 이후 과학적 실험방법과 근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임신의 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과학적 연구 결과를 활용하려는 최초 시도는1927년 Aschheim와 Zondek의 rat와 mouse를 이용한 bioassay로 시작되었고, 이후 토끼와 개구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발전하였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면역검사방법은 bioassay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임신진단 검사를 일반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1976년에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임신진단키트가 출시되어 임신진단을 대중화하는데 기여하였다. 1980년대 이후 진단검사의 기술적 진보는 임신진단검사에도 활용되어 임신진단의 검사신뢰도는 더욱 향상 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가정용 임신진단키트의 정확도와 사용편리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임신진단 검사의 역사와 과학적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The history of the pregnancy test started in ancient Egypt with a germination test using wheat and barley. Since then, unscientific methods have been used from the days of Hippocrates and Galen to the Middle Ages when uroscopy was used, even until the early 1800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1800s, scientific methods and evidence have begun to emerge, which led to scientific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gnancy. The first attempt to utilize these scientific findings was initiated with the bioassay by Aschheim and Zondek using rats and mice in 1927, and then developed into experiments using rabbits and frogs. The immunoassay method, which started in the 1960s, contributed greatly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pregnancy test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bioassay. In 1976, a pregnancy test kit was introduced that can be used at home, contributing to the popularization of pregnancy tests. Since the 1980s, technological advances in diagnostic tests have also been applied to pregnancy tests to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 of pregnancy. In the 2000s, the accuracy and ease of use of the pregnancy test kits for home use have improved dras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the pregnancy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