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영상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날씨와 지역시간에 관계없이 영상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지구를 관측하기 위하여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위성 영상레이더의 전처리 절차가 복잡하여 수치지도의 제작에는 잘 활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레이더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수치 지형도 제작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하여 위성의 상·하향궤도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을 두쌍 획득했다. 또한 제작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1) 레이더 기하로부터 RPC(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 기하로 변환하였고, 2) 수치도화를 수행하였다. 3) 최종적으로 기존에 구축된 수치 지형도로부터 기준점과 검사점을 획득하여 수치지형도 제작 결과를 검증하였다. 두 개의 수치 지도 제작 결과에 대하여 정밀도 검증을 수행하였을 때 각각 XY 방향과 Z 방향으로 1 m 미만의 오차를 나타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KOMPSAT-5 위성 영상레이더 스테레오 영상을 활용하여 기준에 부합하는 1:25,000 수치 지형도를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기상 조건이 불안정한 지역과 북한, 극지방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수치지형도 제작과 주기적 수치지형도 업데이트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re have been many applications to observe Earth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since it could acquire Earth observation data without reference to weathers or local times. However researches about digital map generation using SAR have hardly been performed due to complex raw data processing. In this study, we suggested feasibility of producing digital map using SAR stereo images. We collected two sets, which include an ascending and a descending orbit acquisitions respectively, of KOMPSAT-5 stereo dataset. In order to suggest the feasibility of digital map generation from SAR stereo images, we performed 1)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 transformation from radar geometry, 2) digital resititution using KOMPSAT-5 stereo images, and 3) validation using digital-map-derived reference points and check points. As the results of two models, root mean squared errors of XY and Z direction were less than 1m for each model. We discussed that KOMPSAT-5 stereo image could generated 1:25,000 digital map which meets a standard of the digital map. The proposed results would contribute to generate and update digital maps for inaccessible areas and wherever weather conditions are unstable such as North Korea or Polar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