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순수 음악'의 미적인 자율성 - 모든 예술이 열망한 조건
An Aesthetic Autonomy of ‘Pure Music’ - On The Condition To Which All Art Aspires
정우진 ( Chung Woo-jin )
인문과학 vol. 114 205-233(29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408

이 글은 우선 음악의 자율성 개념을 둘러싼 몇몇 문제를 검토한 다음, 이를 사회적 맥락과 음악미학의 관점에서 해명함으로써 초기 독일낭만주의자들이 ‘순수 음악’이라고 일컬은 기악 음악이 19세기에 이르러 자율성의 이상(理想)으로서 여겨지게 된 인식 변화와 그것의 미학적 의의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형식과 내용이 일치하는 듯 보이는 유일한 예술인 음악의 내적인 ‘필연성’과 ‘정신성’이야말로 현대의 여러 예술이 열망한 “음악의 조건”(월터 페이터)임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o begin with several problems on the idea of autonomy of music, then elucidates them in both the social context and the perspective of music aesthetics. Thereby it makes an effort to explain the change of cognition at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aesthetic significance that the instrumental music, the ‘pure music’, as called by the early German Romantic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deal of aesthetic autonomy. The present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at it is the inner necessity and the spirituality of music which it seems to be the only art of the unity of form and content that, in words of Walter Pater, the condition of music to which all art constantly aspires.

Ⅰ. 들어가는 말
Ⅱ. 음악의 자율성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Ⅲ. 자율성 개념의 사회적 형성 배경
Ⅳ. 음악미학의 관점에서 본 자율성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