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Images of Letters - Writing and Image Making in Western Europe Romanesque Sculpture
( Vincent Debiais )
인문과학 114권 53-77(25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504

이 논문은 중세 서유럽의 시각적 자료, 특히 로마네스크 조각을 “이중매체성”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보면서 하나의 예술 작품 내에 다양한 유형의 기호가 모임으로써 생겨나는 지적, 미학적 함의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우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 1) 예술 행위는 복잡한 담론을 창출해내기 위해 도상 기호들을 다른 매체들(음악, 노래, 문자, 춤 등)과 혼합하거나 융합시킨 시각적인 장치를 항상 사용하곤 했다. 2) 이런 점에서는 중세 미술도 차이가 없다. 문자는 그림, 조각, 모자이크, 스테인드글라스 등에서 도처에 존재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료들에서 보이는 금석문 각명(刻銘)의 기능과 상태, 그리고 그것이 전례와 종교라는 맥락에서 이미지의 의미와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중세 시대에 이중매체적인 장치가 이미지들과 그것이 형상하는 바를 가시적인 세계에서 현존하게 하고 작동시킨다는 점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put the notion of “bimediality” in perspective with the visual documentation of the Western Middle Ages, especially with Romanesque sculpture, to show the intellectual and aesthetics implications of the gathering of different types of signs within a single work of art. It starts with two observations: 1) the practice of art has always used visual devices mixing or merging iconic signs with other media (music, singing, letters, dance...) in order to create complex discourses; 2) medieval art is not different in this aspect: writing is everywhere in painting, sculpture, mosaics, stain glasses, etc. This article intends to emphasize the functions and status of epigraphic inscriptions on these materials and their impact on the meaning and effect of images in liturgical or religious contexts. It speculates that the bimedia devices were used during the Middle Ages to make images and what they figure present and active into the visual world.

Introduction
Ⅰ. Writing and the Medieval Image
Ⅱ. Writing in the Image Making
Ⅲ. Bimediality as a Feature of Medieval Visuality
Conclusion
[Cited Work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