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Accredited
안민영 피란 시기 사설시조의 성격과 표현
An aspect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Ahn, Min Yeong's Saseol-Sijo during Refuge
손정인 ( Son Jung-in )
한민족어문학 vol. 82 235-271(37pages)
DOI 10.31821/HEM.82.9
UCI I410-ECN-0102-2019-800-001762957

안민영이 남긴 대부분의 시조들은 타자와 만난 외적 경험을 작품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안민영이 드물게 내적으로 체험한 것을 길게 노래한 사설시조 2편(『금옥총부』177번, 178번)의 성격과 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 두 작품의 창작 시기를 살펴보았다. 두 작품의 문면에 담겨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이 작품들은 안민영이 51세 되던 해인 1866년에 병인양요가 발발하자 가족을 데리고 홍천으로 피란 가 있던 시기에 지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두 작품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살펴본 결과, 이 작품들은 안민영이 청자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시키기 위해 지은 것이다. 이러한 점은 『금옥총부』 ‘언편’에 함께 배치된 다른 작품의 내용이나, <177>·<178>에 나타난 호명의 문제, <178>에 나타난 청자들을 향한 화자의 발언 및 두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에 관한 내용을 통해서 확인된다. 끝으로 두 작품의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안민영은 <177>에서 중국 문인의 고사나 한시구를 인용하고, 당시 유흥의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던 시조의 표현을 가져왔다. <178>에서 중국 문인의 한문구를 인용하고, 흥취나 애정과 관련된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였다. 안민영은 이러한 표현을 통해 청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적 체험을 추체험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안민영은 두 작품에서 관념적 흥취를 내세워 ‘悅心樂志’를 과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인 계급으로서 사대부의 의식 세계를 지향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we will investigate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wo pieces of Saseol-Sijo (『Geumokchongbu』 number 177 and 178) which Ahn, Min Yeong experienced potentially and sang to a great extent.ㅍ At first, we shall investigate the creation period of two works. Upon examination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tents of two works, at 51, he wrote the works after he had fled from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and lived in Yeongkumri, Hongcheon with his family. Next, we sha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works. Ahn, Min Yeong wrote the works to prove his identity to the listeners. These points are found in the contents of other works arranged with 『Geumokchongbu』 'eunpyeon', or the narrator's statement to the listeners showing the matter of calling the name in <177>. Lastly, we shall look at the aspect of expression in the two works. Ahn, Min Yeong quoted Chinese writers' idioms and lines of Chinese poetry and presented the expression of sijo, which was actively accepted at pleasure field at that time in <177>. Ahn, Min Yeong quoted Chinese writers' Chinese verse and Chinese idioms related to interest and affection. Ahn, Min Yeong made the listeners understand his identity by doing a re-enactment of the inner experience of oneself through this expression. Ahn, Min Yeong exerted ideal interest in the two works. This comes from aiming the upper class's conscious world as the middle class.

Ⅰ. 머리말
Ⅱ. 작품 정보를 통한 창작 시기의 추정
Ⅲ. 정체성의 면에서 바라본 작품의 성격
Ⅳ. 작품에 나타난 추체험의 표현 양상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