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유아의 신체·정서능력 증진을 위한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effects of integrative program on young children's fundamental movement skills, self-regul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playfulness
김상겸 ( Kim Sang-kyum ) , 서소정 ( Seo So-jung )
UCI I410-ECN-0102-2021-300-000375732

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적, 정서적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체·정서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현장적용을 통하여 신체적 기본움직임기술, 정서적 자기조절력, 정서지능 그리고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신체활동 안에서 나와 타인의 생각과 정서를 공유하는 법을 알아가고, 표현해보며, 함께 하는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하여 신체적, 정서적 역량을 함양하는 것으로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통합적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 각 28명씩 선정하였으며, 실험처지는 10주간 총 14차시가 실시되었다. 자료처리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다변인공변량분석(MANC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신체·정서 통합프로그램은 유아의 기본움직임기술, 자기조절력, 정서지능, 놀이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유아교육현장 및 후속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ive program that incorporates both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components for young children (age 5 years old).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is integrative program was examined with 56 young childr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integrative program was provided over during 10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ere provided another similar program during the same period. The levels of young children's fundamental physical skills and those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ssessed by trained researchers, and the teachers assessed their children's levels of self-regulation and playfulness to collect the data.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MANCOVA, SPSS 23.0)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in fundamental movement skills, self-regul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than the control group di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만 5세 유아를 위한 신체·정서 통합프로그램 개발내용
Ⅲ. 만 5세 유아를 위한 신체·정서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