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화학과 물리 교육과정의 보어 모형과 수소의 선스펙트럼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he Bohr Atomic Model and the Spectrum of Atomic Hydrogen in Chemistry Curriculum and Physics Curriculum
김현정 ( Hyun Jung Kim )
UCI I410-ECN-0102-2019-400-001368840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과 물리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는 보어 모형과 수소의 선스펙트럼에 대한 기술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Ⅰ과 물리Ⅰ 교과서,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어 모형과 수소의 선스펙트럼에 대한 교육과정 기술과 교과서의 기술은 화학Ⅰ과 물리Ⅰ에서 유사하였다. 화학Ⅰ에서는 이 개념들이 원자의 구조 부분에서 다루어지고 현대적 원자 모형의 오비탈 개념으로 이어지며, 물리Ⅰ에서는 이 개념들이 물질의 구조와 성질 부분에서 빛의 흡수와 방출 부분과 연계하여 다루어지고 에너지띠 이론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기술되어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통해 화학Ⅰ과 물리Ⅰ 의 보어 모형과 선스펙트럼에 대한 평가 요소를 비교해볼 때 두 과목에서 출제하는 평가 요소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과목에서 보어 모형과 수소의 선스펙트럼 이후 가르치려고 하는 내용은 서로 다르나 모두 원자의 미시적 구조가 물질의 성질과 관련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어 모형과 수소의 선스펙트럼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공통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descriptions on ‘the Bohr atomic model and the spectrum of atomic hydrogen’ introduced in both chemistry and physics curricula.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curriculum documents, Chemistry Ⅰ and Physics Ⅰ textbooks follow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emistry and physics curricula and textbooks regarding these concepts were similar. In Chemistry Ⅰ, these were explained in ‘atomic structure’, and were followed by the modern atomic model of orbital. In Physics Ⅰ, these were covered in ‘structure of matter and its properties’ connected with absorption and emission of light, and were proceeded by ‘band theory of energy’. Comparing the CSAT items of the two subjects showed that their evaluation factors were similar. Both subjects used these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that the microscopic structure of atoms i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even though the proceeding concepts after these are different in both subjects.

서 론
연구 내용 및 방법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