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계몽의 변증법』에 나타난 계몽의 아포리아에 관한 고찰 - 계몽의 아포리아에서 드러나는 합리성의 충돌과 창조 -
A Study on the aporia of enlightenment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김주용 ( Kim Ju Yong )
시대와 철학 29권 4호 101-131(31pages)
DOI 10.32432/KOPHIL.29.4.4
UCI I410-ECN-0102-2021-100-000375701

본고에서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도입되고 해결되는 아포리아를 계몽의 자기파괴와 계몽의 자기비판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합리성에 대해 견지하는 이중의 시야를 부각하고자 한다. 먼저 그들이 계몽의 자기파괴 현상을 설명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아포리아가 계몽의 자기비판이라는 또 다른 형태로 귀착함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아포리아가 그들을 자기모순에 봉착하게 한다는 비판이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정식화되며, 이 비판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채택하는 비판으로서의 역사 서술 전략과 내재적 비판의 방법론을 간과하고 있음이 논증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자신들의 과제로서 아포리아를 올바르게 설정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음이 밝혀지며, 우리는 그들이 합리성에 대해 취하는 이중의 시야와 내재적 비판의 고유한 모델을 의의로서 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s the aporia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in two aspects of the self-destruction and self-critique of enlightenment and then emphasizes the dual vision which Horkheimer and Adorno hold on rationality. Firstly, it traces the explanation of the self-destruction of enlightenment so as to make explicit that it results in another form of the aporia, the self-critique of enlightenment. This is followed by formulating the criticism into two aspects, that Horkheimer and Adorno’s aporia leads them to be confronted by a self-contradiction. I argue that the criticism neglects their narrative strategy of history as critique and the methodology of immanent critique of Horkheimer and Adorno. In conclusion, it is elucidated that Horkheimer and Adorno rightly posit their aporia and suggest a proper solution, by which we could take the dual vision on rationality and their own model of immanent critique as its significances.

1. 서론
2. 계몽의 자기파괴로서의 아포리아
3. 아포리아를 둘러싼 비판들
4. 아포리아를 이해하기: 『계몽의 변증법』을 위한 변론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