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Accredited
부동산 구매 소비자의 정보서비스 선택속성
The Estate Information Servic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이경아 ( Lee Kyung Ah ) , 김갑열 ( Kim Gab Youl )
부동산학보 vol. 59 74-86(13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375116

부동산 구매소비자들은 부동산 정보서비스가 공급자 중심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 중심의 부동산정보를 계층화하여 원하는 정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부동산정보 전달시스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실증분석을 위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동산 구매소비자들은 구조정보, 가격정보, 입지정보의 순서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가장 중요한 속성정보는 주택의 구조와 관리상태이고, 조세정보, 미래가치, 접근성, 현재매매가격, 자연적 입지, 사회적 입지 순이었다. 이는 주택구입 시 가족특성에 따라서 주택규모와 시설의 노후도 등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조세 등의 부담이 투자가치 및 효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네이버 부동산정보서비스와 비교한 결과, 현재의 포털사이트는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중요한 정도에 따라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가 알리고 싶은 것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An efficient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were studied in order to offer information to target consumers demand characteristics. (2) RESEARCH METHOD A survey of 333 people had participated AHP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 for discussion. (3) RESEARCH FINDINGS The AHP designed < rank 1 > include estate buying behavior, < rank 2 >, the estate location, right information, price information, the structure information is located, < rank 3 > were 10 sub-components. 2. RESULTS The results of AHP showed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with a management state was ranked equal 1, then this tax information, future value, access to the right information, the current trading price, loc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results showed current estate information would be significant differed compared with the consumer need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결 론
< abstract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