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1.199
3.141.21.199
close menu
KCI 등재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의 사례 분석 -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Fashion-Sharing Platform by Introduction of Sharing-Economy - Focused on Product-Service Systems -
김지형 ( Kim Gi Hyung )
UCI I410-ECN-0102-2019-500-001711537

패션 공유경제는 전통적인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 방식에서 벗어나 유휴 자원을 협력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상대적 저비용으로 자원의 순환적 이용을 가능케 하고 패션 상품의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 라인 제공을 목표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의 발생 배경 및 특징을 고찰하고, 공유경제의 자원과 유형을 분류하고, 패션 산업에서의 공유경제 실효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제품-서비스 시스템(product-service systems, PSS)의 국내외 패션 공유 플랫폼 사례 분석을 통해 특징과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렌트더런웨이, 에어클로젯, 프로젝트앤을 3가지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브랜드 정체성, STP 전략, 마케팅 믹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패션 공유 PSS는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3의 서비스 제공자로서 여타 공유경제가 중점을 두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물류, 검수, 및 상품 관리에 집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패션 공유 PSS는 패션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물류와 고객이 반납하는 상품을 수거하는 역물류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해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재렌탈을 위해서 반송된 상품을 검수하고, 세탁하고, 보관하는 절차가 필수적이다. 셋째, 렌탈이 발생하기 위한 임계 규모, 즉 적정한 규모의 재고를 확보해야 시스템이 자립할 수 있는 추진력이 발생한다. 패션 공유경제는 협력적 소비를 바탕으로 다양한 스타일링을 경제적 가격으로 제공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키며, 현대의 가치소비, 경험소비 경향과 함께 지속가능성 추구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다. 향후 PSS 플랫폼 외에도 RDS, CLS를 포함하는 후속연구와 더불어 패션 공유경제 플랫폼 안착에 따른 소비자 행동과 관련한 실증적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fashion sharing economy can be used to make cyclical use of resources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value creation of fashion goods by cooperatively consuming idle resources away from traditional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In this study, theoretical review and case stud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ashion sharing.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ring economy are reviewed, the resources and types of the sharing economy are classified, and the feasibility of sharing economy in the fashion industry is discussed.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fashion sharing economy PSS platform such as Air-closet, Rent the way, Project Anne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ree representative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As a result, the fashion sharing economy PSS platform is a third-party service provider that links suppliers and users, focusing on logistics, inspection, and product management as well as building efficient networks. First,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manage the logistics for delivering fashion goods to users and the reverse logistics for collecting goods returned by customers. Second, it is imperative that the process of rigorous inspecting, washing, and storing the returned goods for continuous re-rental.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ritical mass, that is, an appropriate scale of inventory, for the rental to occur, so that the system can generate self-sustaining propulsion. Despite many challenges, the fashion-sharing economy can be utilized as part of sustainability pursuits, meeting consumer needs by providing diverse styles at economical prices, and with modern value and experienced consumption trends. An empirical study of consumer behavior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fashion sharing economy is proposed in the future study.

Ⅰ. 서 론
Ⅱ. 일반적 고찰
Ⅲ. 패션 공유경제 PSS 분석
Ⅳ. 결론 및 요약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