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GOMS(2010, 2011, 2012)를 활용하여 부동산업 종사 대졸 청년들의 직무 및 직장만족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및 직장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내재적요인과 외재적요인으로 나눌 때, 직무만족도는 거의 내재적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직무만족도는 직장만족도에 외재적요인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준다. 둘째, 외재적요인은 직장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만 주는 반면 내재적요인은 직무만족도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만 준다. 셋째, 직장만족도에 대한 총영향력은 내재적요인이 외재적요인보다 크다. 이런 사실들은 부동산업 종사 대졸 청년들이 이직 없이 현 직장에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업계가 임금, 고용안정, 복리후생 같은 요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일의 자율성과 사회적 평판, 개인 발전가능성의 진작에 더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ausality among the factors influential on job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s working in real estate industry.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lies 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3) RESEARCH FINDINGS
The finding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which the intrinsic factor (IF) and the extrinsic factor (EF) are regarded as the influential factors on both job satisfaction (JS) and workplace satisfaction (WS), JS appears to be determined overall by IF, and in turn, JS turns out to have much stronger effect on WS than EF has. Secondly, EF shows only direct effect on WS, and on the contrary, IF has jus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JS. Finally, IF turns out to exercise a lot larger overall influence on WS than EF does.
2. RESULTS
The facts found in this study mean that IF is more important continuous service motivator than EF in the case of university graduates working in real estat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