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용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양적완화정책이 실시된 2010∼2015년 동안 리츠 ETF를 이용하여 미국과 아시아-태평양국가 간 변동성 전이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bivariate GJR-BEKK-GARCH 모형을 이용하여 각 리츠 ETF 간 변동성 전이 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미국 부동산시장과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부동산시장 간에 강한 변동성 전이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의 경우도 아시아-태평양국가들과 변동성 전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결 과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미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 부동산시장 간에 변동성 전이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상 지역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부동산시장도 글로벌 부동산시장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최근 저금리로 인해 글로벌 부동산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때에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전략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ddresses linkages among the U.S., Australia, Japan, and China real estate markets in the case of REIT(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ETF(exchange traded funds)s during 2010-2015 in which the U.S. Federal Reserve implemented the monetary stimulus, so-called quantitative easing (QE). The purpose of this study assesses the impact of the U.S. QE on Australia, Japan, and China's real estate markets.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locality of real estate markets, U.S. REIT ETF has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on Asia-Pacific REIT ETFs. During the U.S. QE period in which led to low interest rate across the world, the U.S. and Australia, Japan, China real estate markets are closely related in terms of volatility spill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