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31개 시·군·구의 최고지가필지를 대상으로 입지 분석과 지가형성요인 분석을 하였다. 입지 분석의 결과, 복합형이 12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유통중심지형 11개, 교통중심지형 7개, 관광중심지형 1개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지가필지의 업종은 의복소매업 7개, 의약품 소매업 6개, 기타음식점업 3개의 순이었다. 지가형성요인 분석결과, 모형 1에서는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의 VIP 값이 1.561로 가장 높았고, 택지지역 면적비율(1.474), 도로 접면 수(1.389), 1인당 GRDP(1.257)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모형 2에서는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의 VIP 값이 1.853으로 가장 높았고, 1인당 GRDP(1.736), 택지지역 면적비율(1.206)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3에서는 1만 명당 사업체수의 VIP 값이 1.65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시화율(1.503), 인구밀도(1.302)의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연구결과, 최고지가필지의 입지는 교통시설이나 유통시설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지가는 개별요인 보다 지역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tion and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in Daegu and Gyungbuk.
(2) RESEARCH METHOD
The method consists of following two major parts: the frequency analysis on location and PLS regression analysis on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3) RESEARCH FINDING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cation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are considerably influenced by transportation facilities o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land value is more influenced by regional factors than individual factors.
2.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location, there are 12 complex hub type, 11 circulation hub type, 7 transportation hub type and 1 tourism hub type can mostly influence the value of the land. The business types of the highest land value lots were 7 clothing retail business, 6 medicine retail business and 3 other eatery business. The results of PLS regression analysis for forces influencing the land value are as follows: local tax burden per person, GRDP per person, urbanization rate, the number of business per 10,000 people, and population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