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복수표지 ‘들’은 그 문법적·의미적 위치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논의의 최종 목표는 복수표지 ‘들’을 일관된 시각으로 조망하여 그 활용과 의미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있으며 이번 논의에서는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의존명사로 활용되는 ‘들’의 활용과 의미 기능을 고찰하였다. 논의의 결과, 현재 의존명사로 분류되어 있는 ‘들’은 접사나 보조사가 아닌 의존명사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존명사 ‘들’이 선행 명사군을 하나의 무리로 묶어 집단성을 강조한다는 사실과 단수의 명사군과 통합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존명사 ‘들’의 이러한 특징은 모두 ‘들’의 복수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복수성’이야말로 복수표지 ‘들’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의미 기능이라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접사 ‘들’과 보조사 ‘들’의 의미 기능과 활용 양상을 종합하면 ‘들’의 문법적·의미적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particle “deul” has not been clearly determin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lural particle “deul” with a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finally to set reasonable criteria that help understand its usage and semantic function clearl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achieve its purpos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that is utilized as a bound noun has been discussed. As a result of discussion, it is found that the particle “deul” that is currently classified as a bound noun needs to be classified as the bound noun that is neither affix nor auxiliary particl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bound noun “deul” emphasizes its collectiveness by combining preceding nouns as a group and that it contains its limitations in combining with singular nouns. Al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 noun “deul” can be seen to derive from its plurality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semantic function to fully understand the plural particle “deul.” If further study explores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 of “deul” as both affix and auxiliary particle and integrate its outcomes with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t would help better understand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osition of Korean plural marker “d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