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Accredited
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중생활권 설정에 관한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Classification of Mid-Size Neighborhood Unit by Using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Data - Focused on Suwon in Korea -
홍성조 ( Hong Sungjo ) , 이경주 ( Lee Gyoungju ) , 최지연 ( Choi Jiyoun )
부동산학보 vol. 72 87-98(12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379992

공간계획의 수립을 위한 계획권역으로 기존에는 행정구역이 널리 활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민들의 행태에 기반한 생활권을 계획권역의 단위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도시의 생활권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주민들의 이동행태에 기반한 생활권을 설정하고 하며, 이를 위하여 가구통행실태조사와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먼저 중생활권의 도출에 적합한 목적통행을 도출하고, 통행패턴에 근거한 R-mode 요인분석을 통하여 생활권을 설정하였다. 이후에 설문조사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수원시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14개의 중생활권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생활권의 평균면적은 8,47,126㎡, 평균인구는 74,313명이다. 도출된 생활권을 설문을 통하여 도출된 인지적 생활권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높은 일치비율이 도출되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derive the mid-size neighborhood unit.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easy-to-use methodology.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R-mode factor analysis to classified mid-size neighborhood unit. And the validity of methodology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cognitive neighborhood unit derived from the survey. (3) RESEARCH FINDING Suwon is made up of 14 mid-size neighborhood units. And the average area of these units is 8,47,126㎡ and the average population is 74,313. 2.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mode factor analysis, 14 mid-size neighborhood units were derived. Second, these neighborhood units were similar to the cognitive neighborhood units derived from the survey.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reas where large-scale development was made or areas where undeveloped areas were widely distribu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틀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 abstract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